Recent Posts
제6회 ‘15분 스피치’ 녹화영상
2022년 5월 6일 저녁 9시 30분부터 진행된 제6회 ‘15분 스피치’의 녹화영상입니다.제6회 ‘15분 스피치’는 ‘아카이브 네트워크와…
제5회 ‘15분 스피치’ 녹화영상
2022년 4월 29일 저녁 9시 30분부터 진행된 제5회 ‘15분 스피치’의 녹화영상입니다.제5회 ‘15분 스피치’는 ‘정보 자원의…
제4회 ‘15분 스피치’ 녹화영상
2022년 4월 22일 저녁 9시 30분부터 진행된 제4회 ‘15분 스피치’의 녹화영상입니다.제4회 ‘15분 스피치’는 ‘정보 자원의…
제3회 ‘15분 스피치’ 녹화영상
2022년 4월 15일 저녁 9시 30분부터 진행된 제3회 ‘15분 스피치’의 녹화영상입니다.제3회 ‘15분 스피치’는 ‘정보 자원의…
제2회 ‘15분 스피치’ 녹화영상
2022년 4월 8일 저녁 9시 30분부터 진행된 제2회 ‘15분 스피치’의 녹화영상입니다.제2회 ‘15분 스피치’는 ‘정보 자원의…
제1회 ‘15분 스피치’ 녹화영상
2022년 4월 1일 저녁 9시 30분부터 진행된 제1회 ‘15분 스피치’의 녹화영상입니다.제1회 ‘15분 스피치’는 ‘정보 자원의…
제38회 집단지성 기록학 연구모임
2022년 3월 18일 저녁 9시 30분부터 진행된, 제38회 집단지성 기록학 연구모임 녹화영상입니다.제38회 ’20분 스피치’는 박예진…
제37회 집단지성 기록학 연구모임
2022년 3월 11일 저녁 9시 30분부터 진행된, 제37회 집단지성 기록학 연구모임 녹화영상입니다.제37회 ’20분 스피치’는 임예림…
제36회 집단지성 기록학 연구모임
2022년 3월 4일 저녁 9시 30분부터 진행된, 제36회 집단지성 기록학 연구모임 녹화영상입니다.제36회 ’20분 스피치’는 진상효…
제35회 집단지성 기록학 연구모임
2022년 2월 25일 저녁 9시 30분부터 진행된, 제35회 집단지성 기록학 연구모임 녹화영상입니다.제35회 ’20분 스피치’는 유서형…
제34회 집단지성 기록학 연구모임
2022년 2월 18일 저녁 9시 30분부터 진행된, 제34회 집단지성 기록학 연구모임 녹화영상입니다.제34회 ’20분 스피치’는 박춘원…
제33회 집단지성 기록학 연구모임
2022년 2월 11일 저녁 9시 30분부터 진행된, 제33회 집단지성 기록학 연구모임 녹화영상입니다.제33회 ’20분 스피치’는 이다은…
제32회 집단지성 기록학 연구모임
2022년 2월 4일 저녁 9시 30분부터 진행된, 제32회 집단지성 기록학 연구모임 녹화영상입니다.제32회 ’20분 스피치’는 김구희…
제31회 집단지성 기록학 연구모임
2022년 1월 28일 저녁 9시 30분부터 진행된, 제31회 집단지성 기록학 연구모임 녹화영상입니다.제31회 ’20분 스피치’는 노명환…
제30회 집단지성 기록학 연구모임
2022년 1월 21일 저녁 9시 30분부터 진행된, 제30회 집단지성 기록학 연구모임 녹화영상입니다.제30회 ’20분 스피치’는 노명환…
제29회 집단지성 기록학 연구모임
2022년 1월 14일 저녁 9시 30분부터 진행된, 제29회 집단지성 기록학 연구모임 녹화영상입니다.제29회 ’20분 스피치’는 임종철…
제28회 집단지성 기록학 연구모임
2022년 1월 7일 저녁 9시 30분부터 진행된, 제28회 집단지성 기록학 연구모임 녹화영상입니다.제28회 ’20분 스피치’는 박선정,…
제27회 집단지성 기록학 연구모임
2021년 12월 17일 저녁 9시 30분부터 진행된, 제27회 집단지성 기록학 연구모임 녹화영상입니다.제27회 ’20분 스피치’는 한상진…
제26회 집단지성 기록학 연구모임
2021년 12월 10일 저녁 9시 30분부터 진행된, 제26회 집단지성 기록학 연구모임 녹화영상입니다.제26회 ’20분 스피치’는 한정은…
제25회 집단지성 기록학 연구모임
2021년 12월 3일 저녁 9시 30분부터 진행된, 제25회 집단지성 기록학 연구모임 녹화영상입니다.제25회 ’20분 스피치’는 강진욱…
제24회 집단지성 기록학 연구모임
2021년 11월 26일 저녁 9시 30분부터 진행된, 제24회 집단지성 기록학 연구모임 녹화영상입니다.제24회 ’20분 스피치’는 배은경…
제23회 집단지성 기록학 연구모임
2021년 11월 19일 저녁 9시 30분부터 진행된, 제23회 집단지성 기록학 연구모임 녹화영상입니다.제23회 ’20분 스피치’는 진상효…
제21회 집단지성 기록학 연구모임
2021년 11월 5일 저녁 9시 30분에 진행된, 제21회 집단지성 기록학 연구모임 녹화영상입니다.제21회 ’20분 스피치’는 유서형…
제20회 집단지성 기록학 연구모임
2021년 10월 29일 저녁 9시 30분에 진행된, 제20회 집단지성 기록학 연구모임 녹화영상입니다.제20회 ’20분 스피치’는 송정아…
제19회 집단지성 기록학 연구모임
2021년 10월 22일 저녁 9시 30분에 진행된, 제19회 집단지성 기록학 연구모임 녹화영상입니다.제19회 ’20분 스피치’는 박춘원…
제18회 집단지성 기록학 연구모임
2021년 10월 15일 저녁 9시 30분에 진행된, 제18회 집단지성 기록학 연구모임 녹화영상입니다.제18회 ’20분 스피치’는 박시현…
제17회 집단지성 기록학 연구모임
2021년 10월 8일 저녁 9시 30분에 진행된, 제17회 집단지성 기록학 연구모임 녹화영상입니다.제17회 ’20분 스피치’는 한상진…
제16회 집단지성 기록학 연구모임
2021년 10월 1일 저녁 9시 30분에 진행된, 제16회 집단지성 기록학 연구모임 녹화영상입니다.제16회 ’20분 스피치’는 현승인…
제15회 집단지성 기록학 연구모임
2021년 9월 24일 저녁 9시 30분에 진행된, 제15회 집단지성 기록학 연구모임 녹화영상입니다.제15회 ’20분 스피치’는 박민…
제14회 집단지성 기록학 연구모임
2021년 9월 17일 저녁 9시 30분에 진행된, 제14회 집단지성 기록학 연구모임 녹화영상입니다.제14회 ’20분 스피치’는 신유림…
제13회 집단지성 기록학 연구모임
2021년 9월 10일 저녁 9시 30분에 진행된, 제13회 집단지성 기록학 연구모임 녹화영상입니다.제13회 ’20분 스피치’는 김태현…
제12회 집단지성 기록학 연구모임
2021년 9월 3일 저녁 9시 30분에 진행된, 제12회 집단지성 기록학 연구모임 녹화영상입니다.제12회 ’20분 스피치’에서는 이도순…
제11회 집단지성 기록학 연구모임
2021년 8월 27일 저녁 9시에 진행된, 제11회 집단지성 기록학 연구모임 녹화영상입니다. 제11회 ’20분 스피치’에서는 이정연…
제10회 집단지성 기록학 연구모임
2021년 8월 20일 저녁 9시에 진행된, 제10회 집단지성 기록학 연구모임 녹화영상입니다. 제10회 ’20분 스피치’에서는 조민지…
제9회 집단지성 기록학 연구모임
2021년 8월 13일 저녁 9시에 진행된, 제9회 집단지성 기록학 연구모임 녹화영상입니다. 제9회 ’20분 스피치’에서는 최효진…
제 8회 집단지성 기록학 연구모임
2021년 8월 6일 저녁 9시에 진행된, 제 8회 집단지성 기록학 연구모임 녹화영상입니다. 제 8회 ’20분…
제 7회 집단지성 기록학 연구모임
2021년 7월 30일 저녁 9시에 진행된, 제 7회 집단지성 기록학 연구모임 녹화영상입니다. 제 7회 ’20분…
제 6회 집단지성 기록학 연구모임
2021년 7월 23일 저녁 9시에 진행된, 제 6회 집단지성 기록학 연구모임 녹화영상입니다. 제 6회 ’20분…
(포스터)제1회 공동 국제학술회의_2021.02.19
제1회 공동 국제학술회의 세계의 평화와 상생을 위한 DMZ⋅노근리사건⋅베를린장벽의 기억과 기록화
(포스터)김대중⋅DMZ기록연구화/한국외대 정보⋅기록학 연구소 공동 세미나_2021.03.21
김대중⋅DMZ기록연구화/한국외대 정보⋅기록학 연구소 공동 세미나
[학위논문]사회적 기억보존과 아키비스트의 역할 : 인혁당 재건위 사건을 중심으로
서 본 논문은 ‘기억’이라는 관점에서 오늘날의 아카이브와 아키비스트가 과거의 기억들과 오늘날 사회의 다양한 기억들을 반영하기…
[학위논문]시니어 인지건강을 위한 사진 아카이브 플랫폼 구상
1999년 공공기록법 제정 이후, 한국에서의 아카이브는 공공기관에서 공적 업무 행위를 토대로 생산된 행정기록을 모아놓는 물리적 보관소로…
[학위논문]시맨틱 아카이브를 통한 국내 방송뉴스 기록물 이용 활성화 방안 연구
기록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이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검색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학위논문]RPA 기술을 활용한 기록 관리 업무 자동화 방안 연구
기록관리 분야도 여타 산업과 마찬가지로 업무 환경과 기록관리 패러다임 등 큰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종이…
[학위논문]4차 산업혁명시대 기록경영시스템 표준을 통한 정보자산구축시스템으로서의 기록관리 연구
본 논문에서는 기록이 보존과 관리영역이라는 제한적 역할을 넘어서 기록을 조직의 정책과 전략 수립 영역, 즉…
![[학위논문]제4차 산업혁명 시대, 아카이브와 아키비스트의 핵심 역할에 대한 연구 : DCC 생애주기 모델을 중심으로](https://i0.wp.com/peaco.org/wp-content/uploads/2021/07/석사논문.jpg?resize=434%2C360&ssl=1)
[학위논문]제4차 산업혁명 시대, 아카이브와 아키비스트의 핵심 역할에 대한 연구 : DCC 생애주기 모델을 중심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시대적 변화에 따른 아카이브 및 아키비스트의 패러다임 전환과 역할변화를 분석하고 아카이브와 아키비스트가…
[학위논문]순례길의 장소성에 대한 아카이빙 방안 연구 : 당진 버그내순례길을 중심으로
장소성이란 공간에 시간이 흐르고, 인간의 의미 있는 활동 및 사건을 통해 형성된다. 특히 길은 시장,…
[학위논문]사료학습과 아카이브의 활용 : ‘역사가 되기’와 ‘아키비스트 되기’
아카이브는 필연적으로 역사교육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특히 ‘역사가 되기’를 표방하는 사료학습에서 빼놓을 수 없는…
[학위논문]복잡계와 음양 이론을 통해 본 데이터 융합의 본질과 데이터 아카이브의 필요성 및 발전 방향
2차 정보혁명이라고 불리는 4차 산업혁명은 초연결, 초융합, 초지능화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초연결 사회에서는 모든 장치와…
댓글을 달려면 로그인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