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여성사전시관은 국내 최초로 여성의 역사를 다루는 전문전시관이자 문화공간으로서의 기능을 한다. 일반적인 역사적 시각에서 소외되었던 여성들의 발자취를 담은 자료를 적극 발굴하여 균형 잡힌 시각으로 재해석함으로써 주변에 머물러 잇던 여성사의 제자리를 찾아 주는 일, 다양한 전시와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통하여 여성들의 자긍심을 높여주고 남녀평등의식을 확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국립여성사전시관의 그 의미와 역할을 다하기 위해서는 풍부한 기록과 콘텐츠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3·1운동에 참여한 여성독립운동가 기록을 활용한 온라인 전시’가 그 주제이다. 그러나 위에서 알아본 것과 같이, 국립여성사전시관 자체적으로 소장하고 있는 자료로 국립여성전시관만의 온라인 전시를 구축하기에는 현실적으로 다소 어려운 상황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므로 3·1운동과 여성독립운동가 기록을 소장하고 있는 다른 기관과의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을 통해 기록정보콘텐츠 데이터베이스를 마련하여 정보에 원활하게 이용자들이 접근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런 기록정보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는 관련 기록의 출처정보를 비롯하여 다양한 배경정보가 함께 담겨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배경정보를 통해서 이용자들을 추가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이렇게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다양한 온라인 전시가 제작될 수 있는 발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2021-07-18 12:11
기록물ID:
기록물유형:PDF파일
기록생산자:강주연
생산일자:2020-08-31
내용요약: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정보·기록학과 석사학위논문(2020. 8)
자료출처:http://www.riss.kr/link?id=T15648997
언어:한국어
규모와범위:
장소:
인물:
기관및조직: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도서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