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시맨틱 웹 기술을 활용하여 이와 같은 기록정보 통합검색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정보 통합과 검색의 효율성 문제를 개선해보려고 한다. 먼저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의 문제점을 분석한 뒤 문화유산 통합 온톨로지 구축 모델인 CIDOC-CRM을 적용하여 온톨로지 기반 검색 시스템을 설계해 볼 것이다. 구축한 온톨로지를 바탕으로 이용자가 용이하게 시맨틱 검색을 할 수 있도록 매개의 역할을 해주는 이용자 중심의 인터페이스까지 제안하고자 한다.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개선과 관련하여 온톨로지와 이용자 인터페이스와 같이 기존 연구에서 다루어지지 않은 측면을 중점적으로 서술했기 때문에 본 연구가 시스템 개선 방향에 대한 또 다른 접근법을 시사해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대부분의 기록물이 전산화되고 디지털 환경에서 서비스되기 때문에 웹 정보서비스와 기록정보서비스는 맞닿아 있을 수밖에 없다. 기록학계에서도 웹 환경의 변화를 반영하여 RIC과 같은 새로운 기술(記述) 표준을 발표하였다. 도서관, 박물관 등 유관 기관에서도 온톨로지와 같은 시맨틱 웹 기술을 활용하여 이용자들에게 높은 수준의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차세대 기록정보서비스 모델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웹 기술을 적용하여 기록정보서비스를 개선할 수 있는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한국의 대표적인 역사 기록물 통합 웹 페이지인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을 사례로 하여 온톨로지를 적용한 검색 시스템을 설계해보았다. 본 연구는 시맨틱 웹 환경에서의 기록물 정보의 통합 및 정보서비스가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을지에 대해 중점적으로 논하고자 하였기 때문에 검색 시스템의 활용될 온톨로지 모델은 따로 구축하지 않고 이미 구축되어 있는 모델을 사용하였다. 사용한 온톨로지 모델은 CIDOC-CRM으로 국제박물관협의회에서 개발한 문화유산 분야의 온톨로지 모델이다. 박물관 도큐메이션 및 도서관과 기록관과 같은 기억보존기관 간의 정보 통합 및 연계를 위한 모델인만큼 다양한 성격의 역사 분야 기관과 연계하여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에 적절할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2021-07-18 12:21
기록물ID:
기록물유형:PDF파일
기록생산자:신지윤
생산일자:2020-02-28
내용요약: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정보·기록학과 석사학위논문(2020. 2)
자료출처:http://www.riss.kr/link?id=T15480198
언어:한국어
규모와범위:
장소:
인물:
기관및조직: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도서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키워드: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 온톨로지 , 검색도구 , 인터페이스 , CIDOC-CRM , 기록물 웹 사이트 , 검색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