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당대 사회의 시대상을 영상으로 담아내는 방송 콘텐츠의 사회, 문화적 가치를 인지하고, 동시에 방송과 통신의 융합으로 인해 송출과 편성의 개념에서 벗어나 더욱더 넓어지고 있는 방송 콘텐츠의 외연에 주목하여, 미디어 제작 현업에서 온라인 유통 방송 콘텐츠가 아카이빙 되는 현황을 분석하고 실질적인 아카이빙 개선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미디어 환경의 다채로운 변화에 따라 새롭게 탄생하여 방송의 영역에 진입한 온라인 유통 방송 콘텐츠에 주목하여, 그것이 실제 아카이빙 되는 제작 현황을 분석하고 그에 맞는 개선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였다. 온라인 유통 방송 콘텐츠란, 기존의 방송 채널 송출과 편성 개념에서 벗어나 일차적으로 온라인 영상 플랫폼에 유통되기 위해 제작되는 방송사의 방송 콘텐츠로, 당대 사회의 시대상을 영상의 형태로 담아내는 방송 영상 기록물이라는 점에서 그 기록적 가치와 체계적인 아카이빙의 필요성을 지닌다고 볼 수 있다.
연구를 위해 먼저 스마트폰의 대중화, 모바일과 OTT 중심의 영상 시청행태 변화 등에 따라 방송 산업의 생태계가 변화되어온 과정을 살펴보았고, 그에 따른 온라인 유통 방송 콘텐츠의 탄생 배경과 고유한 특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2019년 한해 대중적 파급력이 컸던 구체적인 콘텐츠 예시를 통해 온라인 유통 방송 콘텐츠가 지닌 기록적 가치와 사회 문화적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규제와 보존이라는 두 가지 틀로 법적 지원 현황을 검토하여 정책적으로도, 실제 방송 제작 환경 내에서도 온라인 유통 방송 콘텐츠가 일정 부분 원본 유실의 위험에 처해있단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과정을 통해 결과적으로 온라인 유통 방송 콘텐츠에 대한 기록학적 관심과 유연한 대처가 필요함을 밝혔다.
2021-07-18 12:17
기록물ID:
기록물유형:PDF파일
기록생산자:김태엽
생산일자:2018-08-31
내용요약: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정보·기록학과 석사학위논문(2020. 8)
자료출처:http://www.riss.kr/link?id=T15650846
언어:한국어
규모와범위:
장소:
인물:
기관및조직: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도서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키워드:아카이빙 , 온라인 유통 방송 콘텐츠 , 방송 아카이브 , 방송기록물 , 콘텐츠 아카이빙 , 영상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