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시대상의 재현 기록으로서 방송·영상 큐레이션 : 지상파 TV 평가·선별을 중심으로

[학위논문]시대상의 재현 기록으로서 방송·영상 큐레이션 : 지상파 TV 평가·선별을 중심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장기적 관점에서 방송·영상을 시대상의 재현 기록으로 인식하고, 기억을 소환하여 재구성할 수 있는 단초를 마련할 방송·영상 큐레이션을 위해 평가·선별 프레임워크(framework)를 제시하는데 있다.

본 논문은 방송·영상을 기록으로서 바라보고 어떻게 평가·선별하여 장기적으로 ‘기록유산’으로 남기며 그것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큐레이션의 순환구조에 자리잡을지 논하기 위한 연구였다. 20세기 이후 대중들에게 집단 기억을 형성하게 하고 다양한 가치를 부여했던 새로운 매체로서의 TV, 즉 방송·영상은 실제로 대단히 큰 영향력을 미치면서 당대의 모습을 재현해왔다. 이렇
게 시대상을 반영하는 기록으로서 방송·영상을 큐레이션하기 위한 평가·선별지표를 제시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목표를 위해 다음과 같이 각론을 다루었다.

지상파 TV에 종사하는 구성원과 심층면담을 통해 위에서 제시한 다양한 이론적 근거와 평가·선별 요소들의 타당성을 물어보았다. 지상파 TV 제작진들은 그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정량적 지표를 주요 평가 요소로서 바라보았다. 그리고 방송 제작이란 주관이 개입되는 재구성된 현실이라는 사실을 인정하였다. 그리고 그들은 방송·영상의 평가·선별의 준거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 ‘정보적 가치’를 공통적으로 꼽았다. 지상파 TV 제작진들은 일부 관점의 차이가 있었지만 모두 영상의 보존에 대한 나름의 철학을 가지고 있으며, 다양하고풍부한 영상 보존에 대해 그 중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2021-07-18 12:01
기록물ID:
기록물유형:PDF파일
기록생산자:박완
생산일자:2020-02-28
내용요약: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정보·기록학과 석사학위논문(2020. 2)
자료출처:http://www.riss.kr/link?id=T15480170
언어:한국어
규모와범위:
장소:
인물:
기관및조직: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도서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키워드:방송기록 , 영상기록 , 방송큐레이션 , 평가 , 선별 , 평가기준 , 평가준거 , 평가 프레임워크 , 방송아카이브

답글 남기기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