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대자보의 기록화 필요성과 발전방향 : 대자보의 사회문화적 가치를 중심으로

[학위논문]대자보의 기록화 필요성과 발전방향 : 대자보의 사회문화적 가치를 중심으로

본고는 그중에서도 대학생들이 형성하는 정체성과 기억에 중점을 두고자 한다. 대학생들은 당대 사회 제반의 문제를 직접 목격하고 경험하는 주체이다. 대학생들은 자신들이 겪고 있는 사회문제를 토론하고 다양한 정체성을 형성한다. 대학생들이 형성하는 정체성은 공동행동이라는 실천의 영역으로 확장되기도 하며, 사회에 영향을 미친다. 이는 그만큼 현실 사회가 대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이다. 대자보는 대학생들이 자신들의 의견을 피력하고 정체성 형성을 촉구하기 위한 매체로 사용되어왔다. 대학생들은 대자보를 통해 당대의 정치, 경제 뿐 아니라 자신들의 일상까지도 함께 공유하며 논의한다. 즉, 대자보를 통해 당대 사회의 주체인 대학생들의 시선으로 여러 이슈들을 확인하고 해석할 수 있다.

대자보의 기록학적 접근은 전통적인 기록관리 프로세스로 충분히 설명하는데 한계를 지닌다. 즉, 대자보의 자유로운 형식과 내용의 주관성과 같은 특수성을 고려하여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고는 대자보가 지니는 사회문화적 가치 및 중요성을 우선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기록으로서의 가치를 규명하고, 향후 아카이빙을 위한 기록학적 논의 및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본고의 연구 목적이다.

대자보는 대학생들이 공공역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 매체이다. 대학생들은 대자보를 통해 자신들의 관점에서 사회를 해석하고 끊임없는 토론을 진행한다. 또한 사회의 문제를 다시 대학 내부로 가져와 새로운 의미를 창출해 나간다. 지속적인 토론의 과정은 정체성을 형성하고, 상설적 공론장을 만들어나간다. 대자보를 통한 대학생들의 상호작용은 개념적 구성을 의미하며, 끊임없는 개념적 구성의 과정은 또 다시 공공역사의 장이 된다. 즉, 대자보는 역사성을 지니고 시대적 가치를 반영하는 기록으로서의 가치를 지니며, 인간의 인식 작용을 내포하는 개념적 구성물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대자보는 기록유산으로서 관리되어야할 필요가 있다. 특히, 대자보가 내포하는 주관성 및 특수성을 고려하여 관리 방안이 논의되어야 한다. 대자보 기록의 효율적인 관리와 활용을 위해서 다양한 기록학적 논의가 진행되어야 하며, 이 과정은 다양한 주체 및 전문기관과의 연계와 협력을 통해 가능하다. 이를 통해, 대자보가 시대와 당대 사회를 반영하는 증거이자 기록유산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2021-07-18 12:08
기록물ID:
기록물유형:PDF파일
기록생산자:최수영
생산일자:2020-02-28
내용요약: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정보·기록학과 석사학위논문(2020. 2)
자료출처:http://www.riss.kr/link?id=T15480479
언어:한국어
규모와범위:
장소:
인물:
기관및조직: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도서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키워드:대자보 , 기록 , 공공역사 , 기호학 , 공론장

답글 남기기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