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한국 관련 해외 수집 기록물의 이용자 서비스 개선방안 연구

[학위논문]한국 관련 해외 수집 기록물의 이용자 서비스 개선방안 연구

근현대시기 굴곡진 역사적 흐름 속에서 우리나라의 기록물관리는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였으며, 따라서 이 시기 한국의 면면을 명징하게 재현해낼 수 있는 근거 및 증거로서의 기록물들이 다수 유실되었다. 이 같은 상황으로 인해 국내의 여러 기록물 수집기관들은 기록물의 부재로 인해 유실된 역사의 간극을 메우고자 특히 2000년대 이후 해외에 소재한 한국 관련 기록물들에 대한 수집활동을 활발히 이어오고 있다.
그런데 수집된 해외 기록물은 적극적인 수집활동에 비해 그 정리를 기반으로 한 서비스가 충분히 효과적으로 이용자들에게 제공되고 있지 못한 측면이 있다.
이 같은 배경 아래, 본 연구는 한국 관련 해외 기록물의 활용 단계에서의 이용자 서비스 영역에 주목하였다. 특히, 기록정보서비스에 있어서 사실상 핵심 영역이라 할 수 있는 온라인 검색 및 열람서비스 영역에 있어 한계점을 살펴보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주요 기관별 해외 기록물 온라인 검색 및 열람서비스의 구체적인 사례를 살펴보고,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을 고안해내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먼저 2장에서는 한국 관련 해외 수집 기록물의 개념 및 정의를 살펴보았으며, 매뉴스크립트로서 해외 수집 기록물이 갖는 주요 특징과 이용자층 유추하여 서비스 제공 시 염두에 둘 점을 살펴보았다. 또한 국내 주요 국내 기관의 수집 및 서비스 현황을 살펴보았다.
이어 3장에서는 국내 주요 기관의 실제 온라인 검색 및 열람서비스 사례를 살펴보았다. 각 기관별로 홈페이지를 통해 제공하고 있는 해외 수집 기록물 검색 방식, 분류 및 기술 방식, 검색 시 제공하는 기술요소, 이용자의 검색을 돕기 위한 참고면담서비스, 온라인 열람서비스 등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4장에서는 3장에서 도출한 검색ㆍ열람 서비스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점들을 제언하였다. 우선, 검색 및 열람 서비스를 제공하기 전 사전 준비 단계에서 개선해야 할 점을 살펴본 후, 실제 검색 및 열람 서비스 단계에서 개선해야 할 사항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 관련 해외 수집 기록물의 구체적인 사례를 대표적 기관의 온라인 서비스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개선방안을 제언하였다는 것에 의의를 둔다. 본 연구가 향후 유관 기관의 서비스 개선 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2021-07-17 02:36
기록물ID:
기록물유형:PDF파일
기록생산자:김나정
생산일자:2016-08-31
내용요약:한국외대 대학원 정보기록관리학과 석사학위논문 (2016.8.)
자료출처:http://www.riss.kr/link?id=T14152347
언어:한국어
규모와범위:
장소:
인물:
기관및조직: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도서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도서관
키워드:해외 수집 기록 , 해외 소재 한국 관련 기록 , 기록정보서비스 , 온라인 서비스 , 기록관 이용자 서비스 , 기록 검색 , 기록 열람 , 국사편찬위원회 , 국가기록원 , 국립중앙도서관

답글 남기기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