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방안 연구

[학위논문]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방안 연구

최근 들어 일본군 ‘위안부’에 대한 관심이 여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다. 2015년 체결된 위안부 합의에 대한 논란, 일본의 소녀상 철거 요구, 일본군 ‘위안부’ 기록물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보류 등 다양한 이슈들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의 최전선에서 활동해 온 정대협의 기록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일은 더 이상 미뤄둘 수 없는 현안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대협 사례를 중심으로 NGO 활동 및 기록관리 현황을 분석하고, 일본군 ‘위안부’ 문제해결을 위한, 보다 강력한 사회적 연대를 이끌어 내기 위해 정대협의 기록 중 ‘수요시위 컬렉션’을 대상으로 단체의 활동을 고스란히 보여주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역사의 증거인 위안부 할머니들과 정대협 활동가들은 함께 호흡하고 목소리를 높여 사회적 연대를 이끌어왔다. 활동의 과정 속에 생산된 기록과 관련하여 정대협 기록 담당자는 비전자 기록과 전자기록이 연동되어 통합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일관된 분류체계가 없어 자료 검색 및 이용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이러한 정대협의 기록관리에 대한 어려움을 함께 풀어나가고자 하는 목적으로 시작한 자원봉사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의식을 가지고 본 연구는 시작되었다. 즉, 조직 내에서 소중하게 보존 관리되어 왔지만 활용과 이용가능성의 관점에서는 미흡한 기록들을 어떠한 방식으로 관리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의식이었다. 그에 대한 방안으로 오픈소스를 통한 디지털 아카이브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조직 내 이용자들로 하여금 효율적으로 기록관리할 수 있게 하는 목적과 더불어 정대협을 포함하는 대부분의 NGO가 가지고 있는 목적인 강력한 연대를 이끌어 내기 위해 외부 이용자들이 활동가의 기록을 들여다보고 공감하여 연대의 일원이 되도록 촉진하는 기대효과를 거두기 위한 목적이다


2021-07-17 08:20
기록물ID:
기록물유형:PDF파일
기록생산자:김주아
생산일자:2018-02-28
내용요약: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정보·기록관리학과 석사학위논문(2018. 2)
자료출처:http://www.riss.kr/link?id=T14696322
언어:한국어
규모와범위:
장소:
인물:
기관및조직: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도서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키워드:

답글 남기기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