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한·일 양국의 지방 기록물 관리제도 비교 연구와 발전방향

[학위논문]한·일 양국의 지방 기록물 관리제도 비교 연구와 발전방향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일본의 지방기록물 관리제도와 실제 기관의 기록물 관리 조례, 업무 등의 비교 분석을 통해 한국의 지방기록물관리 발전 방향을 제안해 볼 것이다. 지방기록물 관리가 잘 이루어지고 있는 일본의 사례를 한국과 비교 분석하여 한국이 앞으로 나아갈 길을 제시한다면 한국의 지방 기록물 관리의 발전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현재 한국의 기록물 관리체제는 1999년에 법률 제정을 한 이래로 중앙과 지방의 균형적인 발전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는 애초부터 중앙을 중심으로 발전했던 우리나라 현실에 비추어 본다면 당연한 결과이다. 하지만 이러한 불균형적인 발전이 계속 이루어진다면 앞으로의 균형을 갖춘 지속적인 발전은 어려울 것이다.
반면 일본에서는 1950년대 이후 자율적으로 각 현에 현립문서관이 설립되기 시작하여 지금은 과반수이상의 현에 문서관이 설립되어 있다. 지방 현문서관은 비교적 선진적인 모습을 갖추고 공문서뿐만 아니라 근대 이전의 많은 고문서까지 보존하고 있으며, 지역문화센터로서의 역할을 하면서 기록물을 다양한 목적에 맞게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일본의 지방기록물관리기관에 대해 연구할 만한 가치가 있는 대상으로 생각되어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일본의 지방기록물 관리제도와 실제 기관의 기록물 관리 조례, 업무등의 비교 분석을 통해 한국의 지방기록물관리 발전 방향을 제시했다.


2021-07-17 08:44
기록물ID:
기록물유형:PDF파일
기록생산자:김진아
생산일자:2019-02-28
내용요약: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정보·기록관리학과 석사학위논문(2019. 8)
자료출처:http://www.riss.kr/link?id=T15059622
언어:한국어
규모와범위:
장소:
인물:
기관및조직: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도서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키워드:일본 , 지방 기록물 관리 , 경남기록원 , 카가와현립문서관 , 돗토리현립공문서관

답글 남기기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