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많은 세월호 관련 기록물들 가운데 본 연구에서 추모기록물에 집중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추모기록물은 세월호 관련 기록물 중 가장 접근이 쉬우면서도 그 유형이 다양하여 아직까지 명확한 수집체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특히, 전통기록물에서 ‘기록물’로 볼 수 없는 것들까지도 기록물로 인식하는 과정에서 수집과정에서 많은 애로사항이 발생했다. 본 연구
는 세월호 추모기록물과 유사한 기록물의 수집이 이루어질 경우 보다 명확한 체계를 마련하여 수집과정에서 발생한 오류를 개선하고자 하는 데 그 의의를 두고 있다. 둘째로 세월호 추모기록물은 그 출처가 사회 각계각층으로 매우 다양하다. 정치인들부터 종교계, 교육계, 학생들부터 이름을 알 수 없는 불특정 다수에 의해 형성된 기록물 컬렉션, 유가족이 생산한 추모기록물까지 그 출처가 다양하여 기존 공공기관의 기록물관리 체계로는 수집과 관리가 불가능하다. 때문에 수집 시 공공기관의 기록물과는 다른 수집기준을 만들 필요가 있다. 셋째로 세월호 사고는 한국 사회에서 계층과 분야를 막론하고 역대 유례가 드문 사고이면서 동시에 하나의 국가 단위의 국민적 공감대를 불러일으킨 사건이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발생한 추모기록물들은 한 시대를 관통하는 사건으로서, 또는 그 이외의 문화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라도 수집전략을 구체적으로 세울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세월호 추모기록물은 현재까지도 꾸준히 생산되고 있고 또 수집되고 있다. 하지만 수집과정에서 이루어져야 할 평가나 선별작업이 따로 존재하지 않고, 별도의 이론체계도 거의 전무한 상태다. 때문에 수집단계에서 명확하고 세부적인 수집계획이 세워지지 않으면 이후 기록물에 대한 통제가 불가능하며, 종래에는 기껏 수집한 기록물들을 활용하지 못한 채 서고에만 보존되거나 심지어는 활용가치의 축소로 폐기할 수도 있다. 따라서 수집체계의 확립을 통해 수집업무는 물론, 이후의 활용가능성을 최대한 상승시킬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것이다.
2021-07-17 02:55
기록물ID:
기록물유형:PDF파일
기록생산자:김진수
생산일자:2016-02-28
내용요약:한국외대 대학원 정보기록관리학과 석사학위논문 (2016.2.)
자료출처:http://www.riss.kr/link?id=T13994744
언어:한국어
규모와범위:
장소:
인물:
기관및조직: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도서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도서관
키워드:세월호 , 추모기록물 , 수집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