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참여형 온라인 아카이브 구축을 통한 지역기록의 활용 방안 : 남양주시를 중심으로

[학위논문]참여형 온라인 아카이브 구축을 통한 지역기록의 활용 방안 : 남양주시를 중심으로

일찍이 기록에 대한 배타적 권리를 소유했던 소수 지배계층은 기록의 생산, 보존, 활용, 폐기에 이르는 모든 과정을 독점하며 기록관리를 권력유지의 도구로 귀속시켜왔다. 이처럼 지도계층의 국가통치 수단으로서 그 체계와 형태를 변화시켜온 보편적 인식하의 기록관리는 국가기록보존소에 대한 시민의 열람이 허용되고, 포스트모더니즘에 의해 국가보존기록이 가지는 유일한 증거성이 부정되면서, 그 권력적 속성에 균열이 발생하기 시작하였다.

Ann Pederson(2005)은 기록관리가 우리 사회를 기억의 망각으로부터 보호하고,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고 하며, 기록관리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과 관심 없이는 자유, 책임과 의무, 근면성과 정의가 조화롭게 존재하는 이상적인 사회는 존재할 수 없다고 하였다. Ann Pederson 이 말한 이상적 사회는 시민들의 자유로운 의사개진과 자발적 참여가 보장되는 민주주의 토대 위에서 실현될 수 있다. 대한민국은 헌법 제21조를 통해 이러한 ‘표현의 자유’에 대한 권리를 기본권으로서 명시하고 있는데, 이를 통해 대한민국의 국민 누구나 기록 정보에의 접근·수집·처리에 대한 권리를 보장받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민주주의 국가 시민의 기본권으로서 이러한 ‘알권리’는 온전한 기록관리 제도 하에서만 보장되는 편익(便益)으로 볼 수 있다.

한편, 공적영역의 행정 투명성 제고를 목표로 출발한 현대적‧민주적 의미에서의 우리 기록관리는 1999년 「공공기관의 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의 제정과 2005년 참여정부의 「국가기록관리혁신로드맵」의 기록관리혁신 정책에 의해 비로소 그 제도적 완성도를 갖추었다고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록의 생산과 접수를 법령으로 의무화 하였고, 처리과에서부터 기록관(특수기록관), 영구기록물관리기관 및 중앙기록물관리기관에 이르는 중층적인 기록물관리 체계가 자리 잡게 되었다. 또한 크고 작은 부침 속에서도 공공기관 대부분이 표준기록관리시스템(RMS)을 도입하여 전자기록 관리 체계를 구축하는 등 여러 긍정적인 성과들을 도출해 왔다고 평가할 수 있다. (2007년 당시 공공기록중 전자기록이 차지하는 비율은 98.8% 에 달했다. 따라서 기록의 전자적 생산·관리가 강화되고, 기록관리 표준화원칙이 제정되어 시행 되었다.)

하지만 사무행정의 현대화 및 효율화라는 목표에만 매달려, 중앙행정기관의 업무를 통해 생산된 공공기록물의 안전한 보존관리만을 기록관리 대상으로 간주해왔다는 비판도 함께 받아왔다. 이러한 중앙집중형 헤게모니속에서 지역의 기록이 가진 문화적 가치와 공동체의 일상성은 소외된 것이 사실이다.

우리보다 상대적으로 유서 깊은 기록문화를 가진 유럽 주요국의 경우, 기록물 관리의 가치를 단순히 중앙공공기관의 효율적 행정운영을 위한 수단으로만 여기지 않았다. 그들은 기록관리를 문화운동, 시민계몽, 역사연구를 위한 광의의 개념으로 확장하였다. 이를 위해 중앙정부가 지방기록보존소을 일방적으로 지배하지 않았고, 지방의 기록보존소를 지역문화연구의 중심으로 두며 상호 동등한 횡적관계 아래에서 중앙과 함께 지방 기록관리 문화를 발전 시켜 나갔다.

이탈리아는 국립중앙기록물보존소(Archivio Centrale dello Stato) 외에 지방의 행정수도들에 약 100여개의 국립 기록물 보존소들을 두어 지방분권적 기록관리 문화를 탄생시켰고, 시민 누구나 기록보존소의 기록물을 무상으로 열람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프랑스는 1789년 국립기록보존소(Archives nationales)를 설립하여, 혁명 이후 봉건적 권리나 재산관계 청산에 관한 문서 등 자신들의 이익을 보호할 증명 기록을 찾아보는 시민들에게 공문서의 자유로운 열람권을 법률로서 보장하는 전통을 확립하였다.

이러한 특징은 유럽통합 과정에서도 나타난다. 유럽통합과정이 심화되면서 유럽 공동의 정체성 형성이라는 과제가 필수적 사안이 되었고, 이에 피렌체의 유럽대학(EUI)안에 유럽공동체의 역사기록보존소가 설치되었다. 또한 1970년대부터 위 역사기록보존소의 기록을 대중에게 공개하고자 하는 논의가 시작되었고, 1983년 EU 집행위원회는 위와 같은 공개방침을 담아 유럽공동체 역사기록보존소 기록물공개에 대한 규칙을 공표하였다.

한편, 이러한 지방 기록의 관리 및 활용 필요성은 지역민의 정주(定住)의식과도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인간은 기초적인 생존활동과 일상생활의 욕구를 일차적으로 지역 내에서 충족시키며 살아가는데, 지역은 인간과의 광범위한 상호작용을 통해 고유의 성격(性格, Personality)이라고 할 수 있는 지역정체성을 형성한다. 이는 인간을 해당 지역에 뿌리 내려 살 수 있도록 유도하는 정주의식 생성의 원천이 되는데, 정주의식은 우리의 삶과 지역이 결부되어 사람과 지역사이에서 발생하는 안정된 심적 결합으로, 지역의 물리적 환경, 사회자본, 지방정부의 역할, 지역사회의 경제적 배경 등이 복합적으로 정주의식 형성에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위와 같은 지역민의 정주의식은 지방자치시대 지방 거버넌스의 핵심 요소로 의제되고 있는데, 지방자치제의 도입으로 중앙정부로부터 지자체들에게 주어지던 재정지원은 큰 폭으로 감소되었고, 이에 지자체의 자주재원(自主財源)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지방세에 대한 의존도는 더욱 커졌기 때문이다. 자주재원(지방세와 세외수입)의 정도로 산정하는 재정자립도 비율은 현대 지방 거버넌스의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따라서 지역주민들이 지역에 애향심을 갖고 뿌리내리도록 유도하는 원동력인 정주의식을 강화하는 것이 지방자치시대 지자체들의 가장 중요한 수행 과제중 하나가 된 것이다.
하지만 지방세 수입만으로는 지방자치시대의 다변화된 행정과제를 달성하기 턱없이 부족하였고, 이에 자주재원 외 추가재원 확보에 고심하던 지방자치단체들에게 점차 지역홍보를 통한 외부인의 유입 극대화가 중요한 행정 목표로 자리잡았다. 이는 지역문화사업의 중심에서 상대적으로 기존 지역민을 소외시키게 되었는데, 해당 사업들이 지나치게 외부인의 유입에만 집중하여 흥미 위주로 구성되기 시작하면서, 지역의 문화 사업임에도 불구하고 지역 고유의 로컬리티와 현재 거주하고 있는 주민의 삶이 결여되는 아이러니가 발생하기 시작한 것이다.
송희영(2008)은 2000년대 이후 위와 같은 국내 지자체 지역문화사업들의 획일화 경향을 다음과 같이 비판하였다.
첫째, 콘텐츠적인 면에서 창의성과 독창성이 결여되어 지역특성과 차별성을 보여주는 사업을 찾기 힘들다. 둘째, 지역민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감동을 얻는데 성공적이지 못해 예산 낭비에 그치는 일회성 사업이 넘치고 있다. 셋째, 추진 체계 면에서 지자체 단체장의 업적과 치적을 위한 관주도 전시성 사업이 성행하여, 지역문화사업의 주체여야 할 지역주민들이 소외되는 현상이 빈번하다. 이를 종합하여, 현재 추진되고 있는 우리나라 대부분의 지역 문화 사업들이 전국적으로 획일화 되고 있으며,로컬리티를 살린 문화상품의 기획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고 보았다.

결국 지자체들은 서로 유사하고 특색 없는 콘텐츠만 복사하여 오히려 지역정체성을 상실해 가고 있다는 비판에 직면하는 상황에 이르게 되었다. 이처럼, 지역민의 자부심과 소속감을 향상시켜 정주의식을 제고해야 하는 지역 문화 콘텐츠가 정작 로컬리티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은, 지역 문화사업의 소재를 지역성이 담긴 대상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공감대를 불러 일으켰다. 이는 지역 로컬리티의 보고(寶庫)로서 지역기록이 주목받게 되는 계기를 제공하였는데, 지역기록안에는 지역 구성원이 공동체 속에서 나름의 제도와 생활양식을 형성하며 축적해온 생활사(生活史)가 고스란히 담겨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지역 공동체의 기록은 지역민의 소속감과 애향심을 향상시켜, 해당 커뮤니티를 항구적으로 유지하는 동력으로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지역기록을 활용하되 원문의 열람 확대 서비스 등 1차원 적인 기록정보서비스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지역기록을 능동적으로 수집하여 해당 지역의 문화 콘텐츠를 지역기록을 중심으로 재구성해야 한다는 논의가 학계를 중심으로 시작되었다.

이러한 지역기록을 활용하여 기록 콘텐츠를 구축해야 한다는 논의는 콘텐츠를 수록할 공간에 대한 논의로 자연스럽게 확장되었다. 무엇보다 디지털 환경에 익숙한 지역민들의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이를 온라인 아카이브를 통해 제공해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기 시작하였다. 이들 연구는 거시적 국가 아카이브가 가진 비민주성 등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보통사람들의 일상이 담긴 기록을 활용하여 아카이브를 구축하고 그들 스스로가 주인공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고, 이는 온라인 아카이브가 궁극적으로 구축주체가 아닌 이용자 중심의 참여형 온라인 아카이브로 진화해야 한다는 개념적 배경을 제공하기도 하였다.

위와 같이 기록관리의 패러다임이 중앙중심의 시스템이나 제도 개선 현안과 같이 보존‧관리 패러다임에서, 기록 콘텐츠 등을 통한 로컬리티의 복원과 같이 보다 본질적 가치를 지향하는 활용 패러다임으로 전환되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인 현상으로 볼 수 있다. 다만 지역기록의 활용과 관련하여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된 연구 결과를 특정 지역에 실증적으로 적용하거나, 온라인 아카이브 구축 절차 및 기록의 전시 등 활용 방안을 통합 하여 지자체에서 즉각 활용할 수 있도록 유도한 연구가 부재했던 점은 아쉬운 부분이었다. 따라서 본 논고는 지역기록의 활용방안으로서 참여형 온라인 아카이브의 특징을 정의하고 이어 구축 절차를 제시하되, 아카이브에 수록하기 위한 소재로서 지역기록 컬렉션을 구성하여, 이를 디지털 전시로 구현하는 방법론도 함께 제시할 예정이다. 궁극적으로 지역 기록의 활용을 통해 지역민의 소속감 및 정주의식이 제고되고, 지방자치제도 기반이 강화될 수 있다는 기록학의 실용적 가치를 확인하고자 한다.


2021-07-17 07:32
기록물ID:
기록물유형:PDF파일
기록생산자:정범진
생산일자:2018-02-28
내용요약:한국외대 대학원 정보기록관리학과 석사학위논문 (2018.2.)
자료출처:http://www.riss.kr/link?id=T14696298
언어:한국어
규모와범위:
장소:
인물:
기관및조직: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도서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키워드:지역기록 , 기록의 활용 , 아카이브 , 참여형 온라인 아카이브 , 기록 콘텐츠

답글 남기기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