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조선시대 일사기록관리의 현재적 의미와 시사점

[학위논문]조선시대 일사기록관리의 현재적 의미와 시사점

본 논문에서는 조선시대 일사기록관리를 분석함으로써 얻은 의미와 시사점을 현재의 기록관리체계에 적용함으로써 일사기록관리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는 조선시대 일사기록관리, 특히 『등록』이 중심이 된 체제에서 각 기관 날마다의 업무활동과 사건이 기록되고 관리되었던 점이 가지는 특징이 현재에 큰 의미로 다가올 수 있다고 생각하였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선 일사기록관리의 배경을 포스트모던 담론으로 인한 기록관리의 패러다임 변화에서 찾았다. 이 영향에 따라 주체적이고 적극적인 기록관리가 요구되었고, 기록 연구사 또한 이에 따라 변화하였다. 이렇게 변화된 기록 연구사의 역할로서 필자는 기관에서 일어난 그날의 업무활동·사건을 기록 연구사가 중심이 되어 각 업무담당자들과 함께 종합하여 정리하고, 목록화하여 보존 및 활용하는 일사기록관리를 활성화해야 한다고 보았다.
그리고 이런 일사기록관리가 조선시대에 존재하여왔다고 보았다. 이에 조선시대의 통치이념이었던 성리학이 어떻게 일사기록관리 체계를 이루어 갔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조선시대 일사기록관리의 중심이라 할 수 있는 『등록』을 살펴보았고, 이것이 각 기관들의 업무와 사건들을 담으면서 성리학적 통치체계의 작동을 보여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등록』에 해당하는 기록들로 『승정원일기』, 『일성록』, 『실록』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조선시대 일사기록관리의 분석을 통해서 현재를 위해 주는 의미와 시사점을 정리해보았다. 그리고 현재 기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일사기록관리 상황을 살펴보면서, 이를 종합하여 앞으로 일사기록관리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할지 실행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필자는 본 연구를 통해 일사기록관리가 어떠한 개념인지를 소개하고, 이 일사기록관리가 현재 기록관리 현장에 정착되기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한 것에 의의를 두고 있다. 그러나 이는 어디까지나 현재에 일사기록관리가 어떻게 활용될 수 있고 어떠한 방향으로 가야할 지에 대한 작은 고민에 불과하다. 이에 대한 후속 연구로서 합리적인 기준과 구체적인 실행을 위한 매뉴얼의 수립이 요구된다.


2021-07-17 11:38
기록물ID:
기록물유형:PDF파일
기록생산자:김병규
생산일자:2013-08-31
내용요약:한국외대 대학원 정보기록학과 석사학위 청구논문 (2013.8.)
자료출처:http://www.riss.kr/link?id=T13251928
언어:한국어
규모와범위:
장소:
인물:
기관및조직: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도서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키워드:일사, 일사기록, 포스트모더니즘, 조선시대, 성리학, 등록, 실록, 승정원일기, 일성록

답글 남기기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