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정보부존재 입증도구로서 기록 생산단계 강화방안 연구

[학위논문]정보부존재 입증도구로서 기록 생산단계 강화방안 연구

최근 개헌안에 ′알권리′를 명시하는 조항을 포함할 지에 대한 논의가 계속 이어질 정도로 알권리에 대한 요구가 점점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정보공개 패러다임 속에서 해마다 정보공개율이 증가하고 있어 결과적인 정보공개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과연 실질적인 정보공개도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일까?
국정농단 사태, 메르스 사태, 사드 문제 등 일련의 사건들을 보면, 정보공개제도의 궁극적 목적인 국가의 설명책임성이 제대로 실현되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정보공개청구 결과, 지난 4년간 정부를 불신하게 만드는 정보부존재가 항상 전체 비공개 건수보다 많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록부존재 현상이 정보부존재로 이어지는 점에 주목했다. 기록의 분실·훼손·방치·무단파기·오분류·보존기간 하향 책정 등으로 인한 기록부존재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선 기록 생산단계에서부터 철저한 기록관리가 이루어져야 함을 주장하였다. 이를 통해 정보부존재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고, 정보부존재가 발생하더라도 왜 정보부존재인지에 대한 입증도구로서 쓰일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2021-07-17 08:10
기록물ID:
기록물유형:PDF파일
기록생산자:권현진
생산일자:2018-08-31
내용요약:한국외대 대학원 정보기록관리학과 석사학위논문 (2018.8.)
자료출처:http://www.riss.kr/link?id=T14889071
언어:한국어
규모와범위:
장소:
인물:
기관및조직: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도서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키워드:정보부존재 , 기록부존재 , 기록 생산단계 , 정보공개 , 입증 , 설명책임성

답글 남기기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