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이용자 중심의 사진 아카이브에 대한 연구

[학위논문]이용자 중심의 사진 아카이브에 대한 연구

사진기록은 내용을 증명하는 사실적 증거로서의 기록인 동시에 표현적이며 정보로서의 의미를 담고 있다. 또한 사진기록은 이용자에게 내용을 증명하는 증거자료의 의미뿐만 아니라 이미지의 시대로 일컬어지는 21세기의 사회적 기억에 대한 의사소통 수단이다. 그렇기 때문에 사진기록에 이용자가 얼마나 쉽게 접근 할 수 있고 어떻게 효과적으로 서비스 하느냐는 중요한 개념이다.
과거에는 이용자가 정보를 요구하여 제공받는 과정이었다면, 최근에 들어서는 이용자가 직접 참여하여 정보를 공유하고 소통하며 스스로 콘텐츠를 생산하는 이용자 중심의 기록정보서비스가 대두되고 있다. 이에 최근 각 기관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아카이브를 구축하고 있다. 하지만 아카이브가 구축되어 있어도 대부분의 사진기록은 제도적 관리 체계가 열악하고 사진기록의 기술정보가 부족하며 인식적으로도 뒤쳐지는 상황이어서 기록의 수량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거나 메타데이터 기술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로 인해 대부분의 사진 아카이브는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보다는 기록생산자 및 전달자의 이해관계에 따라 편의성 의해 운영되고 있다. 이는 기록이 국민에게 공개되어 활용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하는 법적 의무와 현장의 불일치라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진 아카이브를 운영하고 있는 기관 현황 분석을 통해 이용자가 사진 아카이브를 이용하는 것에 어떤 장애요소가 있는지 알아보고, 관련 실무자들의 인터뷰 결과를 바탕으로 이를 개선하기 위해 앞으로 사진 아카이브 서비스의 방향성에 대해 주장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향후 이용자 중심의 사진 아카이브 서비스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논의가 이루어지고 결과적으로 기관의 양질의 서비스 제공 기회가 마련될 것이라 기대한다.


2021-07-17 09:12
기록물ID:
기록물유형:PDF파일
기록생산자:김민정
생산일자:2019-02-28
내용요약: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정보·기록관리학과 석사학위논문(2019. 2)
자료출처:http://www.riss.kr/link?id=T15059878
언어:한국어
규모와범위:
장소:
인물:
기관및조직: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도서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키워드:사진 , 아카이브

답글 남기기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