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글에서는 개인과 사회의 관계에 초점을 둔 개인 기록물의 가치를 살펴보았다. 개인과 사회의 다양한 관계 파악, 사회발전과 소통을 위한 공론의 기회 제공, 사회 구성원과의 공감대 형성과 정신적 만족이라는 가치는 개인 기록물이 충분히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그 전제는 개인 기록물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활발하게 지속되어야 가능하다는 것이다.
개인 기록물에 대한 가치 인식 부족과 개인 아카이브, 개인 기록화가 활성화되지 않은 현재, 경제적 문제 등으로 인해 개인 기록물이 공공의 영역에서 관리되고 있는 상황이 나타나고 있다. 현실적인 문제로 인해 개인 기록물은 공공의 영역에서 관리, 보존될 수 밖에 없다는 생각은 다시 한 번 재고될 필요가 있다. 개인 기록물의 가치를 인식하고 이러한 가치를 지속적으로 사회 속에서 나타내기 위한 다각적인 방법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기록물은 그 자체로 의미가 있지만 기록물이 활용되고 많은 사회 구성원으로부터 회자되고 가치를 인정받을 때 비로소 온전한 역할을 다한다고 할 수 있다. 개인 기록물의 가치를 인식하기 위한 노력과 관심을 가지는 것이 그 시작이 될 수 있다. 그리고 구체적인 방법으로 생애사 연구와 개인 기록화를 활용할 수 있다.
2021-07-17 02:21
기록물ID:
기록물유형:PDF파일
기록생산자:최인혁
생산일자:2015-02-28
내용요약:한국외대 대학원 정보기록관리학과 석사학위논문 (2015.2.)
자료출처:http://www.riss.kr/link?id=T13695546
언어:한국어
규모와범위:
장소:
인물:
기관및조직: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도서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키워드:생애사 연구 , 개인 기록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