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방송 기록물의 가치와 활용 방안 : 기록물을 중심으로

[학위논문]방송 기록물의 가치와 활용 방안 : 기록물을 중심으로

미디어 기술의 발전으로 등장하게 된 방송 기록물은 그 시대상을 가장 보편 적이고 민감하게 반영하는 중요한 자산이다. 프랑스의 INA, 영국의 BFI, 일본 의 BPCJ 등과 같이 한국에서도 국가적인 차원에서 방송 기록물을 관리하는 공공 방송아카이브를 설립하고자 했으나 법적 제도와 예산·기술 등이 미흡하 여 제대로 추진되지 못했다. 무엇보다 현재 한국은 방송 기록물의 가치와 활 용에 대한 인식이 아주 낮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공공 방송 아카이브 설 립에 앞서 문화·역사적 가치가 높은 기록물을 우선적으로 공개하고 활용하여 사회의 관심을 촉구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모범적 대안으로 최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 재된 ‘ 기록물(이하, 이산가족 찾기 기록물)’에 주목했다. 이 기록물은 한국공영방송 KBS에서 1983년 6월 30일부 터 11월 14일까지, 총 138일 동안 생방송으로 진행된 이산가족 찾기 프로그램 을 통해 생산되었다. 여기에는 생방송 녹화원본 테이프뿐만 아니라 담당 프로 듀서의 업무수첩, 이산가족이 직접 작성한 출연 신청서, 기념음반, 공로 표창 장 등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방영하면서 생산된 모든 형태의 기록물이 포함된다.

방송 기록물은 오늘날 우리가 살고 있는 역사를 미래 세대에게 가장 생동감있게 전해 줄 수 있는 문화유산이다. 이산가족 찾기 기록물이 향후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그 가치를 인정받는 것은 한국의 방송 기록물 및 아카이브의 미래에 중요한 전환점이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 방송사 아카이브에서 영상물에 대한 소극적 재활용만 이루어지던 지금까지의 관행을 깨고, 체계적인 공공 방송 아카이브의 설립 및 기록물의 대내외적인 활용을 촉진시킬 수 있다.


2021-07-17 02:40
기록물ID:
기록물유형:PDF파일
기록생산자:박인애
생산일자:2016-08-31
내용요약:한국외대 대학원 정보기록관리학과 석사학위논문 (2016.8.)
자료출처:http://www.riss.kr/link?id=T13994651
언어:한국어
규모와범위:
장소:
인물:
기관및조직: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도서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키워드:방송 기록물 , 방송 아카이브 , KBS 특별생방송 이산가족을 찾습니다 , 이산가족 찾기 기록물

답글 남기기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