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마을공동체미디어로서 마을공동체 소통의 활성화에 기여하고 마을 구성원들과의 관계 확장을 해가는 마을라디오를 살펴보고자 한다. 마을라디오 활동에 대한 역할을 규명하여 마을라디오 아카이빙의 필요성 살펴보고, 마을공동체를 위한 마을라디오 아카이빙이 활성화 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제시를 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마을라디오의 마을공동체 소통 활성화 사례를 살펴보기 위해 마을라디오 교육, 방송프로그램 제작, 마을 행사 참여로 분석하였다. 마을라디오 교육은 주민들의 능동적이고 자발적인 참여 확대를 이끌어 내며, 지속적인 마을라디오 활동이 이뤄지는 토대를 구축하고 있다. 방송프로그램 제작은 마을뿐만 아니라 생활 전반에 관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마을라디오 방송은 주류미디어가 다루지 않는 역사를 기록하며, 공동체 이슈에 대해서 미시적 관점에서 마을공동체 주체들의 의견을 담고 있다. 더 나아가 마을라디오 방송은 마을의 다양한 세대와 계층들의 이야기를 들려주며, 사회전반의 흐름에 대한 제작을 하고 있다.
마을라디오 마을 행사 참여는 주민이 문화 콘텐츠를 생산해내는 주체가 되기도 한다. 마을 행사 참여는 청취자들이 직접 라디오방송에 참여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마을과 마을공동체들 간의 쌍방향적인 소통의 매개체 역할을 하고 있다. 마을라디오가 마을 아카이브와 일상 아카이브로서의 역할을 하게 됨으로 역사적, 업무 참고적, 사회적, 문화·예술적, 연구적 가치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2021-07-17 09:26
기록물ID:
기록물유형:PDF파일
기록생산자:도제은
생산일자:2019-02-28
내용요약: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정보·기록관리학과 석사학위논문(2019. 2)
자료출처:http://www.riss.kr/link?id=T15059955
언어:한국어
규모와범위:
장소:
인물:
기관및조직: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도서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키워드:마을라디오 , 마을 아카이브 , 마을라디오 아카이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