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동물권(Animal Rights) 아카이브’ 사례에서 작동하는 공동체 아카이브 담론에 관한 연구이다. 먼저 공동체 아카이브의 관점에서 동물권의 철학과 역사를 살펴봄으로서 동물권아카이브가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카라아카이브의 사례에서 공동체 아카이브 원리는 어떻게 작동하며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살펴보았다. 공동체 아카이브는 새로운 기록관리 방법론의 필요성이 제기되어온 민간영역의 기록을 대상으로 활발히 논의되어 왔으나 아직 구체적인 사례들이 다양하게 제시되지는 못했다. 이 연구를 통해 공동체 아카이브의 한 사례로서 동물권 아카이브를 소개하고, 구체적으로는 카라의 사례를 제시함과 동시에 카라 내에서 아카이브가 기록이나 정보의 축적을 넘어 하나의 문화적 운동으로서 자리 잡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공동체 아카이브 담론을 참여, 지속적인 자율성, 다양성, 액티비즘으로 정리하여, 이 네 가지 원리의 관점에서 동물권의 역사를 살펴봄으로서 동물권 아카이브가 우리사회에서 어떤 의미를 가질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또 카라 아카이브 구축 전략을 살펴보면서 실질적 사례에서는 공동체 아카이브가 어떠한 의미를 가지며, 어떤 방향을 제시하는지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공동체 아카이브 담론의 네 가지 원리는 공동체 아카이브로서 동물권 아카이브에게 다음과 같은 방향성을 제시했다. 인간 아닌 동물을 포함한 모든 커뮤니티 구성원들의 다양한 내러티브를 수용할 수 있고, 커뮤니티가 기록관리 과정에 지속적으로 자율성을 발휘하며, 동물권이 대항서사로서 또 다른 사회적 관점을 형성하게 하고, 동물권의 정치적 현안을 지원 할 수 있어야 한다.
2021-07-17 06:47
기록물ID:
기록물유형:PDF파일
기록생산자:이윤희
생산일자:2017-02-28
내용요약:한국외대 대학원 정보기록관리학과 석사학위논문 (2017.2.)
자료출처:http://www.riss.kr/link?id=T14391832
언어:한국어
규모와범위:
장소:
인물:
기관및조직: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도서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