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의 교회는 복잡하고 다양한 업무를 통해서 기능과 활동들이 변화하고 있다. 교회는 목회와 선교를 비롯하여 봉사활동의 확대와 교회 규모의 팽창 등으로 교회의 대외적 활동이 증가하고 내부 행정업무를 통해 더욱 복잡해지고 있다. 이와 같이 급속한 성장 및 다변화된 업무에 따라 많은 기록물이 생산 및 보존되고 있다. 이들 기록물 중에는 보안을 필요로 하는 기록뿐만 아니라 중․단기적 보존가치를 지닌 기록과 중복된 정보들을 내포한 기록들이 포함되어 있지만, 기록 관리에 대한 전략이 없는 경우 필요 이상으로 과잉 생산되어 무분별하게 관리될 수 있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들 기록에 대해 장·단기 및 영구적으로 보존할 만한 가치가 있는 기록을 선별하고 수집하여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할 필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교회 조직내의 사회복지재단은 오래된 전통과 역사에 반해 남겨진 기록물의 종류와 양이 적고, 비체계적인 정리형식과 기록 활용의 한계 등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조직 내의 문서규정이나 보존연한별 분류기준표 또는 명확한 수집정책의 수립과 같은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교회내의 사회사업 활동과정에서 생산된 기록물에 대한 지속적인 보존과 관리는 활용측면에서 교회의 역사와 전통을 유지하고, 이를 후세에 물려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회사업을 비롯한 다양한 교회 내외적인 사업들을 지속해 나아가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사업을 병행하고 있는 중대형 교회 중 역사자료실을 통해 기록관리하는 영락교회를 선정하여, 교회 산하 사회사업 중 사회복지재단의 기록관리 방안 연구를 제안하였다. 사회복지재단의 기록관리 방안은 영락교회 역사자료실에서 관리하는 방법과 도큐멘테이션 전략을 통해 더 발전적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현 영락교회 사회복지재단은 오래된 역사와 전통에 반해 기록 관리학적 측면에서는 대부분의 개교회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수정, 보완되어야 할 부분이 많았다. 영락교회 사회복지재단의 기록물 조사를 통해 본 기록관리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본 후, 이를 바탕으로 도큐멘테이션을 통해 기록관리 개선방안을 제안해 보았다.
교회 사회복지재단의 기록물 관리는 단지 기록관만의 활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교회의 모든 부서와 재단의 산하 기관들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이루어진다. 또한 도큐멘테이션 전략에 따라 기관의 특성을 잘 파악할 수 있는 기록을 수집하기 위해서는 기록관리자의 능동적인 수집활동이 요구된다. 본 연구를 통해 생애주기에 따른 기록 관리를 보완하여 향후 타 교회 뿐만 아니라 기독교 사회복지의 발전을 위해 중·소 교회의 적합한 기록관리가 도출되기를 바라는 바이다.
2021-07-17 11:40
기록물ID:
기록물유형:PDF파일
기록생산자:김은영
생산일자:2013-08-31
내용요약:한국외대 대학원 정보기록관리학과 석사학위논문 (2013.8.)
자료출처:http://www.riss.kr/link?id=T13251662
언어:한국어
규모와범위:
장소:
인물:
기관및조직: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도서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도서관
키워드:도큐멘테이션 전략, 교회 기록, 사회복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