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도서관 기반 지역 공동체 아카이브 사례 : 느티나무도서관 사례를 중심으로

[학위논문]도서관 기반 지역 공동체 아카이브 사례 : 느티나무도서관 사례를 중심으로

우리나라에서는 공동체 아카이브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각 지역의 공동체 의식 고취를 위한 지역 공동체 아카이브에 대한 여러 연구와 사례들이 생겨났다. 하지만 이러한 지역 공동체 아카이브의 지역 정체성 반영과 아카이브운영의 지속성에 대한 문제가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먼저 이와 같은 지역 공동체 아카이브에 대한 여러 사례에 대해 알아보고,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도서관 기반의 지역 공동체 아카이브를 대안으로 제시했다.
최근 이루어지고 있는 지역 공동체 아카이브의 움직임은 크게 두 가지로 지자체와의 협력 모델과 지역주민들의 자발적인 아카이빙 활동이다. 지자체와의 협력을 통한 지역 공동체 아카이브의 경우 지역 주민들 혹은 활동가들과의 의사소통의 결여로 인한 지역의 정체성이 확보되지 못한 채 아카이브가 만들어지고 결국 이용자들의 참여 결여로 전시행정과 같은 결과를 가져왔다. 민간에서 자체적으로 이루어지는 아카이빙 활동 역시 거점 장소의 부재와 같은 현실적인 한계와 더불어 특정 소수의 주민들만의 참여로 활성화되지 못하였다. 뿐만 아니라 아카이빙 과정에서 전문적인 기술의 한계로 인해 여러 문제를 야기해왔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도서관 기반의 아카이브가 가지는 여러 이점과 문제점들을 알아보고 느티나무도서관 아카이브가 이러한 점들을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2021-07-17 09:23
기록물ID:
기록물유형:PDF파일
기록생산자:안다영
생산일자:2019-02-28
내용요약: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정보·기록관리학과 석사학위논문(2019. 2)
자료출처:http://www.riss.kr/link?id=T15060088
언어:한국어
규모와범위:
장소:
인물:
기관및조직: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도서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키워드:공동체 아카이브 , 커뮤니티 아카이브 , 지역 공동체 , 느티나무도서관

답글 남기기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