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의 이러한 의사결정을 보여주는 기록물들은 대학의 본 모습을 보여줄 것이고, 기록물관리 과정에서 대학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를 가늠해볼 수 있는 도구가 될 것이다. 본고에서는 방송대 기록관의 현황을 점검하고 문제점을 분석하여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우선 일반적인 수준에서의 대학기록관 설립과 운영에 관한 이론적 검토를 진행했다. 또 사무엘스의 도큐멘테이션 전략에 근거하여 대학의 기능 분석을 일부 시도했다.
방송대의 현황 분석을 통해 드러난 문제점에 대한 보완 방안으로 다음의 세 가지를 밝혔다. 우선, 방송대 역사기록관 규정 제2조(적용범위)의 조항에 따르면 “한국방송통신대학교의 모든 기록물에 적용할 수” 있는 체계적이고 세분화된 성문화된 운영 세칙 제정이 필요하다. 이관기록물과 수집기록물을 동시에 관리하고 있는 방송대는 기록물 관리의 보편적인 범주 안에서 각각의 고유한 기록물을 대상으로 하는 수집·관리 정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둘째, 역사기록물의 수집을 위해 내부 부서와 지역 대학·학습관과의 협력을 통한 통합적인 수집이 필요하다. 역사기록물 수집의 한계를 지역대학이 주최하거나 참여하는 지역 축제, 디지털미디어센터에서 생산하는 영상기록물, 원격교육연구소에서 만들어지는 정책연구자료, 방송대 도서관과의 인프라 협력, 홍보 부서에서 수집한 대학사료, 방송대 총동창회를 매개로 한 기록물 수집 등을 보완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마지막으로 방송대 대학 내에 존재하는 특성화기록물인 방송기록물의 개방이 필요하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에 의한 정보화 시대의 도래는 단지 기술적 편리함뿐만 아니라 학습자와 교수자 간의 상호 작용을 가능하게 했다. 여기에 더해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채널의 확산에 따라 기존에 비해 교육을 제공받을 수 다양한 경로가 생겨났다. 방송대가 구축·보존하고 있는 고유의 교육 콘텐츠인 방송기록물의 제공 범위를 넓힘으로써 이러한 흐름에 대응할 필요가 있다. 이는 방송대 교육 콘텐츠의 접근, 이용, 활용이라는 선순환을 통해 방송대만의 지식 전달, 사회화 촉진, 연구 수행, 사회 봉사의 가치를 높이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
2021-07-17 02:32
기록물ID:
기록물유형:PDF파일
기록생산자:문지혜
생산일자:2016-02-28
내용요약:한국외대 대학원 정보기록관리학과 석사학위논문 (2016.2.)
자료출처:http://www.riss.kr/link?id=T13994632
언어:한국어
규모와범위:
장소:
인물:
기관및조직: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도서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도서관
키워드:대학기록관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기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