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다큐멘터리의 노동기록 재현과 사회적 함의 : 영화 <위로공단>의 기록 활용을 중심으로

[학위논문]다큐멘터리의 노동기록 재현과 사회적 함의 : 영화 <위로공단>의 기록 활용을 중심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노동기록이 다큐멘터리에서 어떻게 재현되고 있는지, 그 사회적 함의는 무엇인지를 탐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여성 노동자를 기록하고 재현한 다큐멘터리 <위로공단 Factory Complex> (2014)을 채트먼(Seymour Chatman)의 서사분석(Narrative analysis) 방법론을 바탕으로 분석함으로써 노 동기록의 활용과 미디어적 재현, 사회적 함의를 심층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기록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인식과 문화적 가치를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는 기록 활용의 범주로서 다큐멘터리를 대상으로 한 연구로, 다큐멘터리가 다층적인 기록화 과정을 통해 기록의 사회적, 문화적, 정동적인 가치를 담아내고 기록을 기반으로 한 문화적 활용을 통해 사회정의 실현에 기여할 수 있음을 밝혀냈다는 측면에서 가치가 있다. 이를 통해 기록 활용과 관련된 연구 영역의 층위가 보다 다양화되고, 기록학이 다큐멘터리를 연구 대상으로 하는 영상학, 역사학, 사회학 등의 분야와 연계하어 그 실천적 담론을 더욱 풍부하게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에서 연구방법론으로 적용한 채트먼의 서사분석은 텍스트의 심층 구조를 밝힘으로써 표피적으로 드러난 의미를 넘어 이면에서 작동하는 의미와 실천의 원리를 드러내고 기록이 활용되는 맥락과 사회, 문화적 함의를 밝히는 데 유용한 관점을 제공한다.


2021-07-17 09:10
기록물ID:
기록물유형:PDF파일
기록생산자:송지수
생산일자:2019-08-31
내용요약: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정보·기록학과 석사학위논문(2019. 8)
자료출처:http://www.riss.kr/link?id=T15344383
언어:한국어
규모와범위:
장소:
인물:
기관및조직: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도서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키워드:다큐멘터리 , 노동기록 , 재현 , 위로공단 , 기록 활용

답글 남기기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