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노동조합 기록 생산단계 매뉴얼 구축 방안 : 민주노총 경남지역본부 사례를 중심으로

[학위논문]노동조합 기록 생산단계 매뉴얼 구축 방안 : 민주노총 경남지역본부 사례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민주노총 경남지역본부를 사례로 노동조합 기록 생산단계에 초점을 두고, 생산단계를 매뉴얼로 구축할 예정이다. 이 매뉴얼은 민주노총 경남지역본부에서 실제로 기록 생산단계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노동조합의 입장에서 작성될 것이다. 본 연구는 기록관리 관점에서 폭넓은 정의의 기록과 생산단계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노동조합의 입장에서는 매뉴얼을 통해 기록생산단계를 체계화함으로써 노동조합 기록의 확보와 이로 인한 활용, 노동조합 역사의 전승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록 생산단계를 기록이 활용될 수 있기 위한 최소한의 과정으로 정의하였다. 단순히 기록이 생산되는 과정뿐 아니라 생산된 이후 정리, 분류, 편철의 과정까지를 기록 생산단계로 보았다. 전통적 관점에서의 기록 생산단계에 대한 논의는 쉘렌버그의 이론에서 찾아볼 수 있다. 쉘렌버그는 기록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불필요한 기록이 생산되는 것을 방지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비교적 최근에 진행된 레코드 컨티뉴엄의 이론에서는 일정한 목적에 의해 생산된 기록이 이후 생산 목적 이상의 용도로 이용되기도 한다고 하였다. 기록이 활용되는 시공간 범위의 폭이 넓어진 것이다. 기록환경의 변화에 따라 ISO 15489와 공공기록물법에서도 기록 생산단계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논의되었다. 민주노총 경남지역본부와 규모가 비슷한 공동체 아카이브들은 대부분 기록을 자체적으로 생산하는 매뉴얼보다는 수집 매뉴얼의 성향이 강했다. 그러나 기록 생산단계 중 정리, 분류, 편철 과정과 관련한 실질적인 논의가 기재되어 있어 민주노총 경남지역본부에서 활용할만한 기록 생산단계에 대한 사항을 파악할 수 있었다.


2021-07-17 08:29
기록물ID:
기록물유형:PDF파일
기록생산자:박고은
생산일자:2019-08-31
내용요약: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정보·기록학과 석사학위논문(2019. 8)
자료출처:http://www.riss.kr/link?id=T15344379
언어:한국어
규모와범위:
장소:
인물:
기관및조직: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도서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키워드:

답글 남기기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