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개인이 왜 기록을 남겨야하고, 개인의 기록물이 왜 중요하며, 개인기록물이 어떠한 가치가 있는지를 이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설득력 있는 도구로써 기록정보서비스(Archival Reference Service)를 살펴보는 것을 연구의 시발점으로 삼고자 한다. 이에 이용자들에게 기록을 활용함에 따른 기대와 만족을 제공하는 것이 기록정보서비스(Archival Reference Service)의 기본원칙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공공기록물에서 살펴볼 수 없는 미시사적 관점의 생활상을 개인기록물을 통해 채워질 수 있고 역사를 바라보는 다양한 눈 중에 하나로써 개인아카이브를 발전시키고 정착시켜야 한다. 즉 이용자들에게 개인기록의 가치와 중요성을 전달하기 위한 전제조건은 개인아카이브의 활성화이다. 이를 위해 기록정보서비스(Archival Reference Service)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기록관리의 관심과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기록정보서비스(Archival Reference Service)를 통해 적극적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그에 맞는 서비스 체계가 필요하다. 이에 개인아카이브를 성장시키고 원동력이 될 수 있는 기록정보서비스(Archival Reference Service)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2021-07-17 02:34
기록물ID:
기록물유형:PDF파일
기록생산자:심재련
생산일자:2016-02-28
내용요약:한국외대 대학원 정보기록관리학과 석사학위논문 (2016.2.)
자료출처:http://www.riss.kr/link?id=T13994596
언어:한국어
규모와범위:
장소:
인물:
기관및조직: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도서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도서관
키워드:개인아카이브 , 기록정보서비스 , 이용자중심 , 개인기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