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문화재 관리 업무에 따른 기록물의 효율적인 관리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서 현재 서울시 문화재과의 부동산문화재 관리 업무를 중심으로 업무에 따른 절차와 생산되는 기록물을 살펴보았다. 부동산문화재는 일정한 장소에 고정되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없는 문화재로서 일반적으로 토지에 부착된 형태를 가진다. 이와 같은 성격 때문에 부동산문화재는 문화재를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물 또는 보호구역을 함께 지정하며 그에 따른 보호구역 적정성 검토, 주변건축물 심의 등의 관리 행위가 발생한다. 현대와 같이 급변하는 도시환경에서는 이러한 부동산문화재 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본 논문은 서울시 문화재과의 부동산문화재 관리 업무를 분석하기 위해서 문화재보호법 및 서울특별시 문화재보호조례 등의 관련 법령과 문화재청 및 문화재과의 업무 지침, 업무 분장 등의 문헌자료, 업무 담당자와의 인터뷰 및 실제 기록물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부동산문화재 관리 업무를 크게 기획ㆍ조정, 지정 및 해제, 수리, 현상변경 허가, 안전관리, 기타관리 등 여섯 가지 업무로 나누고, 각 업무별로 생산되는 기록물을 살펴보았다. 현재 서울시는 상위기관인 문화재청으로부터의 위임받은 국가지정문화재의 보존관리를 담당하는 중간기관의 역할과, 서울시 지정문화재의 지정 및 해제, 수리, 현상변경 허가 등 전반적인 사항을 심의하고 관리하는 주체기관의 역할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따라서 논문에서는 문화재 관리 업무 중 주요 업무인 지정 및 해제, 수리, 현상변경 허가의 경우 국가지정문화재와 서울시지정문화재를 구분하여 정리하였다. 또한 문화재의 학술적ㆍ역사적 가치판단의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심의기구인 서울시 문화재위원회의 활동과 그 결과로 생산되는 기록물을 살펴보고, 이렇게 생산된 문화재 관리 기록이 현재 어떻게 보존되고 있는지 보존 장소별로 현황 및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2021-07-16 07:22
기록물ID:
기록물유형:PDF파일
기록생산자:서혜경
생산일자:2010-02-28
내용요약: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정보·기록관리학과 석사학위논문(2010. 2)
자료출처:http://www.riss.kr/link?id=T12016480
언어:한국어
규모와범위:
장소:
인물:
기관및조직: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도서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키워드:문화재 관리 , 문화재 관리 업무 , 문화재 관리 기록 , 부동산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