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구술기록 온라인 서비스는 이용자가 구술기록에 쉽게 접근하는 방법 또는 보다 많은 구술기록을 제공하고 편리하게 검색 및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의 편의성, 효율성을 따지기에 앞서 구술기록의 가치를 높이고 그 의미를 보다 온전하게 전달하기 위한 고민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한다. 구술기록 온라인 서비스는 이용자의 편의를 위한 기술적인 면에 집중
하기보다 근본적으로 구술기록이 갖는 역사적 가치와 의미를 보존하고 이를 바탕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것은 결국 구술기록 아카이브를 보존하려는 이유이며, 구술기록 온라인 서비스가 지향해야 할 방향이다.
본 논문에서는 구술기록 온라인 서비스를 수행하고 있는 국내외 여섯 기관의 사례를 검토하여 특성 및 한계를 비교분석하였다. 국내외 구술기록 온라인 서비스 성격은 크게 다르지 않으나 각 기관 및 국내외의 서비스 형식에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를 비교분석하기 위해 구술채록 프로세스별로 생산되는 구술기록과 국내외 구술기록 온라인 서비스에서 제공하고 있는 구술기록 및 관련 정보를 분석하여 기준을 마련하였다. 이 기준을 중심으로 국내외 사례를 검토한 결과 국내의 경우 해외사례에 비해 구술기록 온라인 서비스의 체계가 미흡하며, 제공되는 구술기록 및 정보도 소극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국내 구술기록 온라인 서비스에서 구술채록 프로세스 및 구술기록의 맥락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였다.
2021-07-16 07:52
기록물ID:
기록물유형:PDF파일
기록생산자:한지혜
생산일자:2010-02-28
내용요약: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정보·기록관리학과 석사학위논문(2010. 2)
자료출처:http://www.riss.kr/link?id=T12016424
언어:한국어
규모와범위:
장소:
인물:
기관및조직: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도서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