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 종류의 모든 기록물 유형의 통합관리에 대한 연구는 범위가 너무 광범위하다. 업무과정에서 생산되는 대부분의 기록물은 종이기록물과 전자기록물로 이루어진다. 이에 대부분의 기록물의 유형을 차지하고 있는 종이기록물과 전자기록물을 중심으로 범위를 한정해서 본 연구를 진행 하도록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종이기록물과 전자기록물의 통합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외국의 사례분석을 통하여 국내의 통합관리현황이 좀 더 나은 방향으로 발전하도록 발전방향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본 연구의 기본 방향이다.
우리나라의 기록관리시스템에서는 기록관리시스템 기능요건 표준에서 ‘비전자기록물의 통합관리’ 항목에서 전자기록물과 비전자기록물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요건항목을 규정하고 있다. 이는 동일한 업무 환경에서 생산된 다양한 유형의 기록물에 대한 통합적인 관리의 중요성 인식과 함께 기록 관리의 발전으로 보여진다. 또한 기록관리시스템에서 많은 부분이 통합적인 기록 관리에 대하여 고려하여 설계되었다.
하지만 좀 더 체계적인 종이기록물과 전자기록물의 통합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고려해야 할 점 들이 있다. 현실적인 기록관리 현황에서 고려해야할 점들이 많겠지만 외국의 통합적인 기록관리 선진사례에서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이 있다고 본다.
2021-07-11 08:46
기록물ID:
기록물유형:PDF파일
기록생산자:박진영
생산일자:2008-02-28
내용요약: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정보·기록관리학과 석사학위논문(2008. 2)
자료출처: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efa7e0dc1a1fe648ffe0bdc3ef48d419
언어:한국어
규모와범위:
장소:
인물:
기관및조직: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도서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도서관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