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전자기록 환경하의 공공기록 평가체계에 관한 연구

[학위논문]전자기록 환경하의 공공기록 평가체계에 관한 연구

최근의 전자기록 환경에서 기록관리 패러다임 변화를 조망함과 아울러 새로운 지식정보화 사회에 부응하는 전자기록 및 전자기록 관리의 의미와 역할을 정립하기 위해서는, 현용기록관리의 의미 및 방향성에 대한 연구와 더불어 지식정보화 사회에 대응하는 기록의 현용적 가치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요청된다고 할 수 있다. 본고는 이를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전자기록 환경 하의 평가 문제를 분석코자 한다.

전자기록 환경에서 디지털 객체를 관리하기 위한 최우선적 과제는 기술적 내지 관리 방법론적 측면이 아니라, 어떠한 대상을 어떠한 목적을 위해 획득할 것인가라는 전략적인 것임을 염두에 둘 때, 비현용단계의 역사적․문화적 가치에 앞서 전자기록의 현용적 가치를 우선시해야 할 이유가 도출되는 것이다. 바로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전자기록 환경 하의 평가 패러다임을 현용적 가치의 강화 경향으로 설정하였다.

본고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2장에서는 전자기록 환경 하의 평가 함의를 도출하기 위한 기반 연구로, 전자기록 환경 하의 업무친화적 기록관리 방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라이프사이클에 기반을 둔 단절적 기록관리 패턴 속에 아카이브관리 영역에 중점이 놓여왔던 종이기록 환경과는 달리, 전자기록 환경에서는 조직의 영위 및 업무 수행에 실익을 주는 현용기록관리의 의미 및 역할이 강화되는 것으로 본고에서는 규정하였다. 이를 뒷받침 하는 논리적 근거로 우선 전자기록 환경에서 기록을 정의하는 요소로 새롭게 부상되고 있는 ‘증거’ 개념을 고찰한 다음, 이러한 증거를 원천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행해지는 업무와 기록, 기록관리의 연계성 창출 논리를 분석하였다.

3장에서는 기록관리 국제표준인 ISO 15489를 기반으로 전자기록 환경 하의 평가 함의를 도출하였다. 우선 1절에서는 ISO 15489의 제정 과정 및 전자기록 환경 하의 기록관리 표준으로서 지니는 의미를 실제 조항들을 통해 고찰하였다. 국제 표준으로서의 ISO 15489가 지닌 강점은 범용성을 지닌 세계 표준이라는 점이나 체계적인 기록관리시스템 구축 방법론을 제시한다는 외형적 차원을 넘어, 전자기록 환경에서 갖는 기록관리 상의 함의가 내재해 있다는 점에 있다. 이것은 바로 업무와 기록, 기록관리의 친연성을 기반으로 한 현용기록관리의 강화라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고의 연구결과는 전자기록 환경 하의 기록관리 정체성 정립 논의에도 하나의 단서를 제공한다. 최근의 지식정보화 시대 속에 정보관리 및 지식관리 영역 등과 차별화된 기록관리 정체성 수립을 위해, 1990년대 중반 이래 서구학계에서는 ‘증거’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왔다. 하지만 전자기록 환경에서의 증거성 강조 경향은 종이기록에서 전자기록 환경으로 변이되는 패러다임 전환에 따른 과도기적 현상이라 할 수 있다. 내용-구조-맥락이 분리된 논리적 실체로서 업무의 내역을 반영한 기록의 확보가 예전의 종이기록 환경처럼 용이하지 않은 상황에서, 무엇보다 최우선적으로 증거의 획득에 주목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전자기록 환경에서 기록관리의 역할은 증거의 확보에만 머무를 수 없다는 문제의식 하에, 증거 이상의 의미를 모색하기 위한 본격적인 논의기반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 상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 특히 최근의 지식정보화 사회에 대응할 수 있는 기록관리의 역할과 함께 이를 위해 평가가 담당해야 할 방향을 제공해준다는 점에서 향후의 보다 진전된 연구를 위한 발판을 마련해준다고 할 수 있다.


2021-07-11 11:32
기록물ID:
기록물유형:PDF파일
기록생산자:김명훈
생산일자:2008-08-31
내용요약:한국외대 대학원 정보기록학과 박사학위논문(2008.8.)
자료출처: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f510c678d77dadadffe0bdc3ef48d419
언어:한국어
규모와범위:
장소:
인물:
기관및조직:국립중앙도서관,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도서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키워드:

답글 남기기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