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전자기록 이관의 신뢰성 확보 방안

[학위논문]전자기록 이관의 신뢰성 확보 방안

오늘날 우리는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기록의 생산부터 보존까지 아울러 새로운 기록관리 패러다임을 정립해야 할 과제에 직면했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기록 관리는 더 이상 노동집약적인 행위가 아닌 전략적 정책을 요구하고 있으며 전자기록 관리는 시스템의 복잡성, 전자 요소들의 전문성 때문에 많은 노력과 비용을 요한다. 이렇게 전략적이고 많은 노력과 비용이 요구되는 전자 기록의 관리정책에 있어 보존으로의 첫 단계인 ‘이관’의 중요성은 너무나도 자명하다. 왜냐하면 완전한 형태의 전자기록이 이관되어야만 후대에 기록이용을 가능하게 하며 기록 손실의 위험으로부터 기록을 보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해외 기록관리 선진 국가들의 장기보존 정책 및 이관 정책과 전자기록 이관 연관 표준과 해외 프로젝트들을 살펴보았다. 먼저 미국, 영국, 호주, 호주 빅토리아 주의 전자기록 장기보존 정책을 국내 정책과 비교․분석함으로써현재 장기보존의 커다란 정책흐름을 확인하고, 다음 국제 표준과 실제 이를 적용한 해외 사례들을 살펴봄으로써 신뢰성을 갖춘 전자기록 이관 요건들을 도출하고자 했다. 마지막으로 이를 바탕으로 국내 전자기록 이관을 체계화 시키고 기록선진국가로 도약하기 위해 문제점 및 해결 모색을 위한 방향을 제시했다.


2021-07-11 05:27
기록물ID:
기록물유형:PDF파일
기록생산자:정은이
생산일자:2007-08-31
내용요약: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정보·기록관리학과 석사학위논문(2007. 8)
자료출처: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0e0bf79c27f664b9ffe0bdc3ef48d419
언어:한국어
규모와범위:
장소:
인물:
기관및조직: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도서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키워드:전자기록 이관 , 신뢰성 확보 , 전자기록 , 진본전자기록 , Electronic Records

답글 남기기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