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에서는 OAIS 참조모형에 바탕을 두고 기존 연구 성과들을 참고하여 이용자 분석을 통한 바람직한 기록DIP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ISO의 OAIS 참조모형은 다양한 디지털 객체를 대상으로 모든 기관에 적용할 수 있을 만큼 개념적인 표준이기 때문에, 이를 구체적으로 구현할 때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하나의 이상적인 모형을 도출하기보다 환경과 실정에 맞추어 적용할 수 있는 현실적인 기록DIP 구상을 목표로 하였다. 기록DIP 구성요소를 이용자가 결정할 수 있도록 선택할 수 있는 범주를 제공하는 전자기록서비스를 모색하고자 한다. 단순히 정보를 얻고자 하는 경우와 달리, 증빙 목적인 경우에는 위변조되지 않았음을 증명해야 하고, 이를 위해 인증이 필요한 형태가 된다. 따라서 증빙용과 정보제공용 두 유형을 기준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전자기록의 생산과 이용이 증가하면서 그 서비스 개선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 글에서는 OAIS 참고모형에 따른 기록DIP의 개념, 구성과 구조를 살펴보고, 기록물을 관리기관 중심으로 제공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이용자가 필요에 따라 배부기록의 내용, 메타데이터 요소를 선택하여 구성하는 방안을 모색하여 보았다. 정보를 보존하고 관리하고 이용자에게 제공한다는 점에서 기록물관리기관은 도서관과 같은 사명을 갖지만, 다른 유형의 자료를 보유하고 있다. 도서관의 경우에는 완성된 도서를 대출하는 형태이지만 기록물관리기관의 기록은 개별 건이 모여 전체적으로 유기적인 의미를 가지며, 이용자가 필요로 하는 내용이 다양하다. 이용자가 원하는 자료를 찾아서 제공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개별 건의 구성과 구조도 이용자의 요구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고객을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 될 것이다.
우리나라의 대통령비서실과 행정자치부 국가기록원에서 OAIS 참조모형에 따른 기록AIP를 구현하고, 대통령비서실에 기록DIP도 구현하였다. 또한 기록의 진본성을 보장하고 생산맥락을 유지하여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기록AIP의 내용을 보존된 형태 그대로 제공하는 것은, 이용에 있어서는 불필요한 정보까지 제공하는 것이 된다. OAIS 참조모형에서 제시하는 바와 같이, 기록DIP는 보존에 필요한 메타데이터전체 중 일부만 포함할 수 있고 이용에 필요한 정보를 추가할 수도 있다.
2021-07-11 09:32
기록물ID:
기록물유형:PDF파일
기록생산자:홍은영
생산일자:2008-08-31
내용요약: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정보·기록관리학과 석사학위논문(2008. 8)
자료출처:http://www.riss.kr/link?id=T11404943
언어:한국어
규모와범위:
장소:
인물:
기관및조직: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도서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키워드:배부기록패키지 , 전자기록 , 기록정보서비스 , 이용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