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우리나라 행정기록물의 디지털화에 관한 연구 : 행정기관 기록물 DB구축 사업을 중심으로

[학위논문]우리나라 행정기록물의 디지털화에 관한 연구 : 행정기관 기록물 DB구축 사업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우리나라 행정 기록물의 디지털화의 현황과 문제점을 비판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코자 한다.본 연구의 목적은 먼저 각국 혹은 세계 다양한 협회나 포럼을 통해 발표된 가이드라인을 통해 디지털화에 대한 보다 세세한 정의와 행정기관 기록물 DB구축사업의 지침을 바탕으로 DB구축 사업의 과정 속에서 이미지 디지털화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그리고 지침을 통해 얻어진 DB구축과 이미지 디지털화 과정과 실제 업무담당자와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실업대책으로 실행한 우리나라 DB구축 사업은 실업대책과 경기부양의 효과는 컸으나 DB 질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많은 인력과 시간,비용을 투자하여 만든 DB의 양은 많으나 질이 낮아 DB구축 사업은 성공했다고 볼 수 없다.그리고 DB구축 사업이 사업전체를 아우르는 Road-Map없는 진행과 과다 국가예산 책정으로 각 기관별로 DB구축 사업이 우후죽순으로 생겨났다.따라서 DB구축 사업의 대상이 겹치고,일부 분야에 편중되다 보니,편중된 분야에서는 소재가 고갈되어 DB구축 대상이 없고,그렇지 못한 분야는 DB구축 자체가 이루어 지지 않는 등 형평성의 문제도 나타났다.대부분이 교육․문화 분야로 몰려 DB구축에서 가장 많이 차지하는 것이 역사관련 고서나 인물정보 DB구축,혹은 도서관 DB구축으로 행정기록물에 대한 DB구축은 미미한 수준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많은 DB구축 사업 중에서도 행정기관의 기록물 DB구축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하였다.고서나 도서,인물정보 등 연구의 활용 목적으로 만들진 DB가 아닌 행정기관의 업무에서 사용되는 행정기록물을 대상으로 진행하고 있는 행정기관의 기록물 DB구축 사업을 연구함으로서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행정기록의 디지털화 현황 파악에 좀 더 다가가고자 했던 것이다.


2021-07-11 03:36
기록물ID:
기록물유형:PDF파일
기록생산자:이예경
생산일자:2007-02-28
내용요약: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정보·기록관리학과 석사학위논문(2007. 2)
자료출처: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35629a930c8d4326ffe0bdc3ef48d419
언어:한국어
규모와범위:
장소:
인물:
기관및조직: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도서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키워드:행정 기록물 , 디지털화 , DB구축 사업

답글 남기기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