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먼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디지털화 기록물의 의미 및 필요성을 살펴보고 국내 행정기관 디지털화 기록물의 품질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함으로 써 품질 확보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다음으로 영국, 호주 퀸즈랜드 주, 뉴질랜드, 한국을 대상으로 각 국의 디지털화 경향에 따른 특징을 살펴보고 각 가이드라인에 제시된 디지털화 단계별 품질 요건을 비교ㆍ분석한다. 끝으로 종합적인 연구를 통하여 국내에 적합한 디지털화 기록물 품질 확보의 원칙을 정립하고 그에 따른 디지털화 단계별 품질 요건을 설계한다.
그러나 디지털화 기록물에 대한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원칙의 정립과 품질 요건을 설계하기 이전에 다음과 같은 내용들에 대한 개선이 전제되어야 한다. 첫째, 디지털화 기록물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어야 한다. 디지털화 기록물을 단순히 디지털 객체가 아닌 업무활동의 결과로 업무의 계속적 요구에 제공되고 규제환경을 준수하며 필요한 설명책임을 완수함은 물론 업무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에 정확한 내용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적 형태의 기록물로 간주해야 한다. 또한, 정보 뿐 아니라 업무활동의 증거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품질의 중요성을 인식해야 한다. 둘째, 디지털화 기록물 관리를 위한 전문 인력을 확보해야 한다. 국내의 디지털화 기록물은 아웃소싱에 의해 생산됨에 따라 업무관리자, 기술적 전문가, 기록물관리자, 장비 및 컴퓨터 운영자 등 디지털화 관계자의 전문성 정도에 따라 품질수준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각각에 대한 역할 정의 및 자격 요건을 명확히 하여 전문성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하고 각자의 영역에 대한 책임의식을 갖도록 해야 한다. 셋째, 디지털화 기록물을 위한 품질 전략은 장기적 기록관리 정책 하에서 마련되어야 한다. 디지털화 기록물은 행정정보 서비스 제공에 앞서 전자적 기록관리 체제 구축을 위한 일환으로 산출된 결과물이다. 그러므로 일시적인 비용과 시간의 절감에만 중점을 두기보다 각 국의 디지털화 경향과 국내의 기록관리 정책 변화를 예측하여 장기적인 안목으로 수립되어야 한다.
2021-07-11 09:49
기록물ID:
기록물유형:PDF파일
기록생산자:이선경
생산일자:2008-02-28
내용요약: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정보·기록관리학과 석사학위논문(2008. 2)
자료출처:http://www.riss.kr/link?id=T11276238
언어:한국어
규모와범위:
장소:
인물:
기관및조직: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도서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