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대통령기록관의 수집정책에 관한 연구

[학위논문]대통령기록관의 수집정책에 관한 연구

우리나라 역대 대통령기록물은 전문적인 기록물 관리 미비와 기록물의 사유화로 인해 기록물 현황이 부족하다.이러한 대통령기록물 부족과 좁은 국토라는 현실적인 이유와 경제성과 효율성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대통령기록관은 통합형으로 설립되었다.통합형 대통령기록관은 같은 대통령제를 표방하는 미국에서도 시행하지 않는 형식으로 세계에서 유일한 형태이다.『대통령기록물 관리법』 제정 이후 대통령기록관이 설립되었으며 처음으로 대통령기록물이 이관되었다. 또한 『대통령기록물 관리법』에서는 역대 대통령의 재임 전ㆍ후 및 재임 당시에 생산한 개인기록물과 유출 및 반출되어 사가나 단체에 소장된 기록물에 대한 수집을 시행하도록 되어있다.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수집에 앞서 해외사례에서 수집정책 구성 요소를 도출하였고 대통령기록관의 기능분석과 역대 대통령기록물 현황분석을 통해 대통령기록관의 수집정책안을 제안하였다.

우리나라 대통령기록관의 수집정책은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필요하다.첫째,대통령기록물이 공적기록물 뿐만 아니라 사기록물도 관리 대상으로 포함하고 있어 수집정책 수립시 수집 업무프로그램의 연속성에서 일정한 틀을 유지시켜 준다. 둘째,대통령기록관의 관리방식이 세계에서 유일한 통합형 기록관이라는 점에서 필요하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의의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대통령 개인기록물 과 유출 및 반출되어 개인이나 사가에 있는 기록물을 수집하기 위한 수집 규정을 명문화 시켜 수집범위 및 관련 사항을 살펴보았다.또한 수집정책의 선행연구들이 수집정책의 이론을 바탕으로 수집정책안을 제안하였지만 본 연구는 실질적인 해외사례의 수집정책문을 바탕으로 공통적인 요소와 추가적인 요소를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2021-07-11 10:47
기록물ID:
기록물유형:PDF파일
기록생산자:구본윤
생산일자:2009-02-28
내용요약: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정보·기록관리학과 석사학위논문(2009. 2)
자료출처:http://www.riss.kr/link?id=T11627571
언어:한국어
규모와범위:
장소:
인물:
기관및조직: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도서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키워드:대통령기록관, 수집정책, 대통령 개인기록물, 수상기록관, 수집전략

답글 남기기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