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대중적 이용을 위한 구술기록의 수집과 활용 방안

[학위논문]대중적 이용을 위한 구술기록의 수집과 활용 방안

이 글에서는 구술,구술기록의 사학적․기록학적 의미를 살펴본 후 대표적인 구술기록의 수집과 관리를 수행하고 있는 두 개의 기관(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와 국사편찬위원회의)의 구술 기록 관리를 위한 양질의 구술수집방안,부수적으로 발생하는 자료의 생산이나 관리의 형태를 살펴보고자 한다. 해외 사례를 통해 국내외의 구술기록의 현황의 장단점을 비교분석하여 문제점 해결을 해나가고자 하였다. 영구기록으로 분류되는 구술기록이 초기 수집계획 단계에서 수집실행까지의 절차를 어떻게 진행하는 지 살펴봄과 동시에 수집단계에서 활용단계에 미치게 되는 문제점을 짚어보고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그러나 이 논문은 수집에 대해 좀 더 많은 시간과 지면을 할애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구술기록의 수집절차에서 양질의 구술을 수집하려는 노력에 더하여 구술기록의 생산과 활용 사례를 분석하여 구술기록의 체계적 수집 방안과 다양한 활용과 이용을 촉진하는 방안을 찾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격적인 사례연구를 통해 구술기록의 수집과 활용이 어떻게 이루어지는가에 초점에 맞추어 두 기관에 대한 조사 분석과 더불어 외국사례를 살펴보았다.외국사례를 국내 기관의 차이점을 살펴보고 두 기관의 사료 및 구술기록 현황과 구술기록 수집절차와 활용현황에 대해 검토하였다. 구술기록의 수집과 활용방안에서는 두 기관의 현황 검토를 기초로 수집과 활용에 대한 제언이 이루어졌다.수집방안과 관련해서는 구술자,비이데올로기를 포함하는 주제선정의 다양성,구술자 선정의 객관성 확보,이관 시 소실되는 기록물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시스템의 혁신,양질의 구술생산,관리 인력의 훈련과 양성 등이 제언 되었다.


2021-07-11 03:29
기록물ID:
기록물유형:PDF파일
기록생산자:한정은
생산일자:2007-08-31
내용요약: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정보·기록관리학과 석사학위논문(2007. 8)
자료출처: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fbcbcc6f6db15bbfffe0bdc3ef48d419
언어:한국어
규모와범위:
장소:
인물:
기관및조직: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도서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키워드:

답글 남기기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