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공공성의 관점에서 본 기업기록관리에 대한 연구 : 미국사례를 중심으로

[학위논문]공공성의 관점에서 본 기업기록관리에 대한 연구 : 미국사례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기업의 역할변화와 그에 따른 기업기록의 가치변화에 주목하여 미국의 사례를 바탕으로 기업기록에 대한 사회적 관리방안에 대해 고찰 한 것이다. 기업은 사회의 경제적 주체로 중요한 기능을 담당한다. 자본주의의 발달과 함께 기업의 규모가 급격히 팽창 하면서 기업은 다양한 분야의 사업을 동시에 진행하게 되었다. 기업의 사회전반에 대한 영향력이 강해지자, 1960년대부터 서구의 일각에서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라는 이름으로 사회적 관점에서 본 기업의 이윤추구 행위가 논의되기 시작하였다. 대중과 사회는 기업의 경제행위에 ‘경제 이상의 것’을 원하기 시작한 것이다. 기업이 그 어느 때 보다 사회적 존재로 인식되고 있는 이때에, 기업행위에 대한 일차적 증거·정보자료로서 기업기록은 새로운 가치를 갖게 되었다. 현대의 기업은 개인적 존재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존재로서 다양한 활동을 통해 사회와 환경, 대중에게 영향을 끼치고 있다. 기업의 기록은 이러한 기업의 사회성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기업의 역할이 확대되고 변화함에 따라 기업 활동의 산물인 기업기록의 가치도 변화한다. 이제 기업기록은 ‘공공성’의 가치와 교집합을 갖게 된 것이다.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미국에서는 대기업들이 본격적으로 등장하였다. 이들 대기업들의 경제활동은 미국사회의 경제구조를 그 이전시기와 비교하여 크게 변화시켰다. 이에 사회변화의 동력으로 기능한 ‘기업’이라는 존재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사회적으로 일어났다. 이때, 기업에 대한 구체적 자료로서 기업기록이 주목받게 되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을 바탕으로 미국에서는 기업기록에 대한 사회적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현실적으로 기업아카이브를 운영하기 어렵거나 기업기록의 사회적 관리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기업들을 중심으로 기업 외부의 기업기록관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본문에서는 이러한 미국의 기업기록관리에 대해 미네소타 역사협회, 해이글리 박물․도서관, 하버드 대학의 베이커 도서관, 듀크대학의 하트먼 센터의 사례를 통해 고찰하였다.
이들 기관들의 사례는 기업기록이 사회적으로 어떻게 관리되고 이용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것으로 특히 기업기록관리 인프라가 부족한 한국의 현실에서 고려할 수 있는 기업기록에 대한 ‘협력관리’이다. 즉, 기업의 사회적 역할 변화로 인해 더 이상 기업기록관리는 기업만의 몫이 아니며, 사회의 여러 주체들이 공공재로서의 기업기록을 관리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미국의 사례를 바탕으로 한국에 대입할 수 있는 기업기록의 사회적 관리 방안은 지역사회에 의한 기업기록관리, 연구기관에 의한 기업기록관리, 대학기관에 의한 기업기록관리, 국가에 의한 기업기록관리 및 제도적 지원 등이다. 이는 기업기록이 지니고 있는 역사적․사회문화적 가치를 사회적으로 공유․활용하고 기업기록관리의 환경을 개선시키기 위한 방안이다. 한 사회의 기업기록을 전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사회의 기업문화에 대한 정확하고 심도 깊은 고찰이 필요하다. 향후에는 보다 정밀한 기업문화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기업과 기업기록, 외부기록보존소와 관계를 고찰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기업기록을 관리·보존할 수 있는 더욱 구체적 방안들이 제시되길 기대해 본다.


2021-07-11 10:49
기록물ID:
기록물유형:PDF파일
기록생산자:김유리
생산일자:2009-08-31
내용요약: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정보·기록관리학과 석사학위논문(2009. 8)
자료출처:http://www.riss.kr/link?id=T11784630
언어:한국어
규모와범위:
장소:
인물:
기관및조직: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키워드:기업기록관리 , 기업의 사회적 책임 , 기업기록의 공공성

답글 남기기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