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표는 그동안 소홀히 관리되어 왔던 홍보물을 국가와 공공의 기록으로서 갖는 가치와 성격을 정의하고 규명함으로서 중요한 가치를 갖는 홍보물이 엄연한 기록으로 인식되어져 올바르게 관리 보존될 수 있도록 함에 있다.또한 홍보물이 갖는 특성을 분석하여 앞으로 홍보물이 기록으로 올바르게 이용되기 위해서 특수기록물인 행정박물의 유형으로 분류되어 관리되어야 하는 당위성과 더불어 홍보물 매체의 특성이 고려된 관리와 보존이 이루어져야 함을 밝히고자 한다.그리고 개정된 법률에 대한 분석과 공공기관의 사례연구를 통하여 관리현황과 실태를 파악하여 향후 홍보물 관리에 대한 개선 방안에 대하여 제언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그동안 정부나 공공기관의 통제 하에 공식적으로 생산 접수된 홍보물이 기록으로 인식되지 않아 기록으로서 관리되지 못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기록이라는 가치가 평가 절하되어 있어 소홀히 다루어지고 방치됨으로 인해 국가의 중요한 기록자원인 홍보물이 훼손 폐기되고 있다는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이의 해결을 위해 무엇보다 홍보물이 기록이라는 인식을 정립시키고,기록으로서 지니는 가치를 확립하여야 하며 이를 바탕으로 홍보물은 반드시 기록으로 관리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더불어 현재까지 홍보물이 관리되어 왔던 상황과 관리 전반을 살펴보는 데에도 중점을 두었다.
2021-07-11 11:29
기록물ID:
기록물유형:PDF파일
기록생산자:조유상
생산일자:2009-02-28
내용요약: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정보·기록관리학과 석사학위논문(2009. 2)
자료출처:http://www.riss.kr/link?id=T11627529
언어:한국어
규모와범위:
장소:
인물:
기관및조직: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도서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