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공공기관의 인사기록 관리에 관한 연구

[학위논문]공공기관의 인사기록 관리에 관한 연구

인사기록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인사관리서류와 개인별 인사기록으로 나뉜다.이중 인사관리서류는 여타기록과 동일한 관리 원칙에 의해 관리된다.하지만 개인별 인사기록의 경우 생애주기,서식 등이 다르기 때문에 별도의 관리가 필요하다.이에 본 논문에서는 인사관리서류보다는 개인별 인사기록에 초점을 맞추어 논지를 전개하였다.
개인별 인사기록은 종래 종이로 존재하였다.그러나 인적자원관리시스템의 도입에 따라 이제는 이 시스템이 생산한 인사기록 dataset이 인사기록카드를 대신하게 되었다.따라서 인사기록 dataset을 생산하는 인적자원관리시스템에 대한 관리가 강화될 필요가 있다.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생산․활용된 인사기록카드와 인적자원관리시스템 양자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문헌연구,법령분석,서면질의 그리고 기능분석의 네 가지 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문헌연구를 통해 인적자원관리와 이러한 활동에 대한 정보․증거로서의 인사기록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특히 p-HRM에서 e-HRM으로의 전환에 따른 인사기록의 존재 양상을 정리하였고,인사기록이 갖는 특성 및 관리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우리나라는 p-HRM에서 e-HRM으로의 전환기에 있다.현재 인적자원관리시스템인 e-사람이 구축․보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인사기록카드를 활용하여 인적자원관리를 수행하고 있기 때문이다.이러한 상황에서 중앙인사위원회는 e-사람을 통해 인사기록 dataset을 관리할 것을 발표함으로써,e-HRM으로의 본격적인 진입을 선언하였다.이에 따라 기록 관리자는 『기록관리법』시행에도 불구하고 법 적용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인사기록카드에 대한 관리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이와 더불어 data입력을 통한 기록 생산이라는 생산 매커니즘을 갖는 e-사람에 대한 관리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그간 『기록관리법』적용 과정에서의 경험과 기록관리에 대한 학문적 연구가 축적되어 우리의 기록관리 역량이 강화된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그러함에도 아직 인사기록카드와 같은 비치기록 그리고 data중심 시스템 관리를 위한 연구는 아직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서 3장에서 인사기록카드의 관리 방향을 비치기록의 특성을 고려하여 정리하였다.4장에서는 개인별 인사기록의 특성에 비추어 data중심 시스템인 e-사람에 대한 관리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2021-07-11 03:20
기록물ID:
기록물유형:PDF파일
기록생산자:진채환
생산일자:2007-08-31
내용요약: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정보·기록관리학과 석사학위논문(2007. 8)
자료출처: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88e884c129dd649affe0bdc3ef48d419
언어:한국어
규모와범위:
장소:
인물:
기관및조직: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도서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키워드:

답글 남기기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