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회 소개

연구회 소개

‘한국기록과정보·문화학회’ 산하 ‘김대중/DMZ기록화연구회’와 ‘KIM DAE JUNG & DMZ RESEARCH CENTER DIGITAL ARCHIVE’

‘ 김대중/DMZ기록화연구회’는 ‘한국기록과정보·문화학회’에 설치되어 있으며 ‘KIM DAE JUNG & DMZ Documentation Society Digital Archive’를 운영하고 관련 주제로 퍼블릭 히스토리를 추진한다.

연구회 비전과 미션

본 연구회에서 김대중과 DMZ는 냉전과 분단에 의거한 전쟁과 대결의 구도를 평화와 화해, 상생의 공존과 공영의 터전으로 만들어 가는 데 상징이 되어주는 인물과 공간으로서 중요성을 갖는다. 김대중과 DMZ 자체를 연구하고 기록화 하는데 핵심의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라, 이를 통해 위에서 말한 전쟁과 대결의 구도를 넘어 실현하는 평화와 상생의 가치들과 목적 그리고 그 역사를 연구하고 기록화 하는데 보다 근본적인 목적이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회에서는 전쟁과 대결의 구도를 평화와 화해, 상생의 공존과 공영의 터전으로 만드는 국내는 물론 세계의 모든 노력과 실천들을 연구와 기록화의 대상으로 한다. 그리하여 본 연구와 아카이빙의 대상은 한 사회 내에서, 국가 간의 그리고 그 어떤 사회 단위체 간에, 인간과 자연 간에 존재하는 전쟁과 대결의 구도와 상생의 평화와 공존에 관한 모든 것들을 망라한다. 이러한 보편적 가치들과 역사의 방향을 연구하고 기록화하기 이를 상징해 주는 김대중과 DMZ 자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와 기록화가 당연히 필요하다. 이러한 목표를 우리는 ‘KIM DAE JUNG & DMZ Documentation Society Digital Archive’의 분류체계를 통해 표현하고 실행하고 자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우리의 아카이브 분류체계는 방대할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유기적 구조를 갖고, 맥락적 효과를 극대화하면서 검색이 원활한 아카이브를 만들어 가고자 한다. 우리는 궁극적으로 이를 참여형 시맨틱웹 아카이브로 발전시키고자 한다.

기록화 방법

기록화에서 우리는 우리가 직접 생산한 기록들을 우선적으로 아카이빙 한다. 타기관들이 보존하고 있는 기록들에 접근할 수 있는 주소들을 수집하여 보존하고 활용한다. 예를 들어 우리는 ‘연세대학교 김대중도서관’, ‘김대중사이버기념관’,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사료관’, ‘대통령기록관’ 등의 적극적인 이용자 그룹이다. 해외에 소재하고 있는 기록물들도 파악하여 그 디지털 주소들을 수집하여 보존·활용한다. 이러한 측면에서는 위의 기관들에게 우리의 활동이 일정 측면 도움이 될 수도 있겠다. 이러한 기록들을 활용하여 우리는 도서, 논문, 기록영화, 각종 콘텐츠 등 새로운 기록들을 생산한다. 이 새로운 기록들을 우리는 아카이빙 한다. 우리가 진행해 가는 퍼블릭 히스토리 및 기록화 작업 등 우리의 활동들을 기록화 한다.

또한 디지털 전시 공간과 시스템을 마련하여 아카이빙 된 기록들이 외부 세계와 체계적으로 소통되게 한다. 아카이브의 자동 통번역 시스템을 활용하여 세계적 기관 및 개인들과 소통하고 아카이빙 작업 및 활용을 국제적 협력 차원에서 추진한다. 예산 등 여건들이 성숙되면 우리는 유급의 통번역 전문 인력들의 지원을 받아 이 자동 통번역 시스템을 보완해 간다. 이를 통해 우리는 온·오프라인의 퍼블릭 히스토리를 국내는 물론 세계적 차원에서 실현해 간다. 그러면서 우리는 이 아카이브 구축과 운영 과정을 보편적인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과 운영을 위한 융복합의 교육장 및 실습장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김대중-DMZ기록화연구회-아카이브-설명-1


2019-02-19 09:34
기록물ID:
기록물유형:PDF문서
기록생산자:노명환
생산일자:2019-02-19
내용요약:'김대중/DMZ기록화연구회'와 'KIM DAE JUNG & DMZ RESEARCH CENTER DIGITAL ARCHIVE' 소개
자료출처:http://김대중/DMZ기록화연구회
언어:한국어
규모와범위:A4 1페이지
장소:
인물:
기관및조직:김대중DMZ기록화연구회
키워드:

답글 남기기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